[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지난 2020년 이후 극단적 선택을 한 사람 5명 중 1명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이나 경제적 상황 악화 등으로 고통을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코로나19 이전부터 취약한 상태였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거나 사업이 실패하는 등 어려움이 커지자 주변 사람들에게 불안감 등을 호소했던 것으로 파악됐다.19일 보건복지부(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2020년 1월 이후 자살 사망자 132명의 유족들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한 결과 29명(22%)이 코로나19로 악영향을 받은 사례로 분류됐다.심리부검(Psycological Autopsy)는 사망 전 자살자의 심리 행동 양상과 변화 상태를 주변인 진술과 기록을 기반으로 원인을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분석 대상자 중 19명(65.5%)은 남성, 10명(34.5%)은 여성이다. 연령대별로 30대와 20대가 각 9명(31%), 40대와 50대는 각 4명, 60대 이상이 3명이었다. 15명(51.7%)은 미혼이며 12명(41.4%)은 기혼이다. 사별과 재혼 상태인 경우는 각 1명이다.대상자 중 7명(24.1%)은 일자리가 있는 피고용 상태였으며 자영업자가 7명(24.1%), 실업자는 5명(17.2%)이었다. 은퇴자와 학생도 있었다.분석 결과 29명은 코로나19 이전부터 직업·경제, 대인관계, 정신건강 문제 등으로 심리적 위기에 놓여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29명 중 19명(65.5%)은 사망 전 직업 관련 스트레스를, 23명(79.3%)은 경제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사업이 부진했거나 실패한 사례가 9명이었으며, 코로나19로 위축된 관광, 문화, 교육 산업 종사자로 파악됐다. 관련 산업의 실직자도 2명이 포함됐다. 코로나19로 업무부담이 크게 늘어 어려움을 겪다 자살한 사망자는 2명이다.경제적 스트레스를 경험한 23명 중 10명은 부채로, 8명은 현재·미래의 경제적 상태에 대한 불안감 등을 호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29명 중 28명(96.6%)는 우울증 등 정신과 질환이 있었거나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였다. 이 중 15명은 코로나19 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로 정신건강 문제가 악화한 경우로 파악됐다.정부는 코로나19 등의 급격한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른 자살 원인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춰 자살사망자의 심리부검을 확대 실시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도 단위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가 참여하는 광역주도형 심리부검 면담사업을 실시한다.정은영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12월 중 코로나19 시대 전 국민 정신건강 증진, 정신질환 조기 발견·치료, 자살 고위험군 사후관리 강화 등의 내용이 포함된 범부처 차원의 제2차 자살예방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