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상수기자]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지원 공모` 사업 가운데 지역 데이터·서비스 분야에서 경북·서울·전북 초광역 컨소시엄이 선정돼 2년 간 국비 47억원(총사업비 99억원)을 확보했다.17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국민의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을 지원하고자 추진된다.총괄 주관기관인 경북(경북SW진흥본부), 서울(서울산업진흥원), 전북(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관련 전문기업 등 총 18개 기관이 참여한다.이들 기관은 지역의 `맛-멋-흥-쉼`을 공통 테마로 한옥마을과 전통문화를 메타버스로 구현하고, 지역 소상공인 O2O(online-to- offline) 서비스와 디지털 콘텐츠의 대체불가능토큰(NFT) 거래 확산을 선도한다는 구상이다.내년까지 국비, 지방비, 민간투자 등 총사업비 99억원을 투입해 3개 지역에 모두 9곳의 명소를 3차원 공간으로 구현하고, 관광·숙박·특산품·디지털 콘텐츠 등을 거래할 수 있는 서비스도 개발할 계획이다.3차원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명소는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의성 고운사, 남산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등 9곳이다.이 공간들은 라이다(LiDAR. 빛을 통한 검출과 거리 측정),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로 구축하고, 개발도구를 활용한 지역 특화콘텐츠를 제작해 한옥마을 가상체험(VR) 서비스, 증강현실(AR) 정보 서비스 등을 통합플랫폼에 등록해 대국민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경북도는 `지역 문화관광 르네상스를 위한 헤리티지 투어리즘 메타버스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3곳(하회마을, 양동마을, 고운사) 가상공간을 배경으로 의식주혼(衣-食-住-魂)을 주제로 다양한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의(衣) 분야에서는 △한복-드레스 투어 콘텐츠로 한복 가상체험 △한복진흥원과 연계한 한복 제작, 식(食) 분야에서는 △한식-컬리너리 투어 콘텐츠 △종가·사찰 음식 체험, 다도 체험 △밀키트 제작업체 연계, 지역 농산물 주문 시스템 등의 콘텐츠가 개발된다.또 주(住) 분야에서는 △하회-양동 스테이 △고택체험 서비스 △메타수학여행 프로그램이, 혼(魂) 분야에서는 △고운-템플스테이를 통한 연등달기 △발우공양 체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다.경북도는 또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 참여와 활발한 창작 활동을 위해 △역사문화를 소개하는 1인 미디어 방송 활동 △메타버스에서 나만의 한옥·한복·전통문양 만들기 △디지털 컨텐츠의 NFT 생성과 거래 연계 서비스 등을 지원한다.지역경제를 돕는 소상공인 O2O 서비스도 개발해 △고택·사찰 가상체험과 숙박(스테이) 연계 서비스 △한복 가상체험과 제작 배송 연계 서비스 △전통문화 가상 체험과 탈제작 DIY(do it yourself) 및 한식 밀키트 배송 연계 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메타버스 관련 첫 사례로 경북도는 전담조직 신설 이후 불과 3개월여 만에 거둔 쾌거라며 크게 반겼다.특히 경북도는 이번 공모사업과 함께 선정된 독도를 주제로 한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 사업에도 국비 8억원을 확보했다.도는 독도 지적재산을 활용해 △메타버스 독도 아카이브 △실감 체험형 독도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독도 메타버스 투어링 콘텐츠 등을 구축 할 계획이다.경북도는 지역의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를 활용해 하반기 구축 예정인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사업과 연계해 `메타버스 수도 경북 대표플랫폼`을 방문하는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재미와 가상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구상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이철우 도지사는 "무한히 확장하고 있는 메타버스와 지역 문화·관광·산업의 접목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메타버스 수도 경북` 조성에 속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