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든 노인들은 세상살이가 참 힘들다고 한다. 날씨는 덥고 전기료는 오르고 에어컨을 틀려고 해도 전기료가 겁나고, 물가는 올라 밥 한 그릇에 만원은 줘야하니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토로한다. 젊은이들은 몸이라도 성하지만 늙은이는 몸도 불편하니, 어디 가서 하소연 할 때도 없다. 노인은 젊은 시절을 지나왔으니 청년들의 심상을 알 수 있으나, 젊은이들은 안 늙어봤으니 노인네들의 심사를 알리가 없다. 그래서 노인들은 탄식만 한다. 병원을 찾아가 아픈 곳을 치료받는 것 이외에 갈 데가 없다는 것이다.우리 사회의 중장기적인 삶의 질 변화를 보여 주는 ‘국민 삶의 질 2020’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의 기대수명은 1970년 62.3세에서 2019년 83.3세로 20년 이상 늘어났다. 2000년 76.0세에서 2005년 78.2세, 2010년 80.2세로 증가하여 2000년 이후로는 매년 0.3~0.6세 정도의 증가폭을 보이고 있다.기대수명은 여자가 남자보다 길다. 2019년 여자의 기대수명은 86.3세로 남자의 80.3세에 비해 6년이나 길다. 이러한 남녀 간 기대수명의 차이는 2000년 남녀 간 차이가 7.4년이었던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기대수명은 국가 간 건강수준을 비교할 때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지표로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2010년을 전후로 80세까지 높아지면서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다. 2018년 OECD 37개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0.7세로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OECD 국가들 중 높은 편이다. 일본이 84.2세로 가장 높으며, 스위스(83.8세), 스페인(83.5세), 이탈리아(83.4세)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미국은 78.7세로 OECD 평균보다 낮다.기대수명이 양적인 측면에서 건강수준을 대표하는 지표라면, 건강수명은 건강의 질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지표다. 기대수명의 증가와 함께 건강수명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2000년 67.4세에서 2019년 73.1세로 5.7세 늘어났다. 건강수명의 연장은 한국인의 건강수준이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대수명과 마찬가지로 건강수명도 여자가 남자보다 길다. 2019년 남자는 71.3세, 여자는 74.7세로 여자가 3.4년 더 긴 것으로 나타나 2000년(4.8년) 이후 성별 격차는 감소하고 있다.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2019년 OECD 37개국 평균 건강수명은 70.3세로 한국은 OECD 평균보다 높다. 기대수명과 마찬가지로 건강수명도 일본이 74.1세로 길고, 그 다음으로 한국, 스위스, 이스라엘, 스페인 순으로 건강수명이 높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OECD 국가 중 10번째로 높았으나, 건강수명은 일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건강하게 살면서 사랑하는 가족들과 오래 지내려면 관계 당국은 포괄적이고 연속적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하며, 노인은 현재를 즐길 수 있는 사고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