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경북연구원이 지난 8일 연구원 7층 중회의실에서 ‘신정부 정책 지역화를 위한 4차 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세미나는 `경북형 문화예술교육 추진방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의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 중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의 방안을 논의하고,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에 대응한 경북형 문화예술교육 추진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주제발표를 한 이현혜 경북문화재단문화사업팀장은 1차 경북도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의 한계점으로 짧은 계획수립 기간 및 문화체육관광부 종합계획에 초점을 맞춘 계획 내용 등을 지적하며, 문화예술교육의 지방이양이 본격화한 2차 계획에서는 지역의 경험과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경북형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2차 문화예술 종합계획에서는 무엇보다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체계화해 일상의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하기 위한 매개자를 양성해야 하고, 지역 문화예술단체 및 기관의 협력구조를 마련해 지역협의체의 실현화가 필요하며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담을 수 있는 교육공간 수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 이후 최정수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의 진행으로 이광호(경북도교육청 장학사), 황윤동(문화창작집단 공터다 대표), 이주행(포항문화재단 문화도시사업팀장), 전창훈(매일신문 문화부장), 허윤정(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협력팀장), 박재영(경북도 문화예술과장)이 참여해 심도 깊은 의견을 공유했다. 황윤동 문화창작집단 공터다 대표는 경북형 문화예술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일회성의 지원사업 관점에서 벗어나, 중장기적 측면에서 문화예술교육 진흥의 관점에서 다양한 정책적 설계가 이뤄져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예술교육을 수행하는 예술강사 및 예술인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자원 DB를 구축해 새로운 지역예술강사의 발굴 및 이들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주행 포항문화재단 문화도시사업팀장은 경북도의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 및 지자체 시행계획 수립 등 관련 계획 수립 시 광역과 기초 지자체가 계획의 방향 및 내용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논의 테이블을 마련해 계획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창훈 매일신문 문화부장은 기초지자체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및 찾아가는 서비스를 강화하고, 경북형 문화예술교육 특화공간 조성 확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험과 수요가 많은 귀농인을 중심으로 풀뿌리 문화교육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했다. 허윤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역협력팀장은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반으로 협의체, 공간, 조례 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현재 문화예술교육지원협의회의 한계를 지적하며, 현장중심의 실무협의체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광호 경북도교육청 장학사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예술강사지원사업 등을 중심으로 학교내 문화예술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며,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담당인력의 한계 등의 현실적 어려움이 있음을 지적하고, 경북문화재단과의 연대를 주장했다. 박재영 경북도 문화예술과장은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2차 계획수립 시에는 기초지자체의 조례 제정, 시군별 시행계획 수립 등 광역-기초 간 문화예술교육 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방안을 반영하겠다"며 "코로나19로 인한 향후의 사회환경 변화와 저소득층, 다문화, 귀농인 등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반영한 경북형 문화예술교육종합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