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6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6.0% 오른 가운데, 행정안전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17개 시도에 하반기 지방공공요금을 동결할 것을 주문했다.행안부는 7일 오후 4시 17개 시도 기획조정실장회의를 긴급 개최하고 지방물가 안정관리방안을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이 자리에서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은 17개 시도의 하반기 지방공공요금 관리방안을 보고 받은 후 전 지자체에 상하수도료, 쓰레기봉투료, 시내버스료, 택시료, 도시가스료, 전철료 등 지방공공요금을 동결할 것을 요청했다.아울러 지방공공요금 인상계획이 없는 지자체에 상하수도요금 등을 적극적으로 감면해 줄 것을 주문했다.앞서 행안부는 지난해 상반기부터 소비자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물가 안정을 위해 전 지자체에 지방공공요금을 동결하거나, 인상시기를 연기 또는 분산할 것으로 지속적으로 요청했다.그 결과 2022년 상반기에는 31개 지자체가 상하수도요금을 감면했고, 하반기에는 9개 지자체가 상하수도요금을 감면할 계획이라고 한다.또 서울시·인천시·울산시·경남도·제주도는 하반기 시내버스료, 택시료, 도시가스료(소매요금) 등 지방공공요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부산시, 전남도, 경북도도 동결을 검토하고 있다.행안부는 향후에도 지방공공요금 인상동향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인상 동향이 있을 경우 해당 지자체에 요금이 인상되지 않도록 적극 요청해 나갈 예정이다.한 차관은 "지금은 물가안정이 정부의 최우선 과제인 만큼 중앙, 지방에 관계 없이 한마음으로 뜻을 모아 고 물가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할 시기"라며 "하반기에 지방공공요금이 생활물가 인상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지자체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앞서 통계청이 지난 5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6.0% 상승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