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가 끝나고 지방자치단체장 취임과 지방의회 원 구성이 대부분 마무리되고, 공무원의 신규 임용을 비롯한 승진 및 전보인사가 이뤄지고 있다.
도를 비롯한 시군지자체장은 공무원 인사혁신을 위해서는 실적 행정으로 판단해야 하며, 실·국장 책임 하에 운영토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성과 실적주의가 인사운영의 기본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이철우 도지사는 2018년 초선 취임 시 “의전의 파격적 간소화와 간편복 근무, 민생해결을 위한 현장 출퇴근 등을 주문”하면서, “실용과 유연성을 강조하는 특유의 인사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또 “역사적으로 경북도는 언제나 국가의 새로운 시스템을 선도해 왔다며 조직, 인사 등을 혁신적으로 운영해 공무원들이 신나게 일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겠다”고 약속해 호응을 받았다.인사가 곧 만사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인사가 어렵다는 말일 것이다. 선거에 도움을 준 사람이나 같은 당 사람들에 대한 논공행상, 학연, 혈연, 지연 등을 동원한 청탁을 거절하기가 쉽지는 않다. 하지만 공직사회에 새바람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공정한 인사가 이루어져야 한다.사람을 등용할 때는 원칙이 있다. 서경(書經)의 말을 빌리면 “믿고 임명했으면 의심치 말고, 의심나면 임명치 말라"(任之勿疑 疑之勿任)는 것이다.아무리 인사가 단체장의 권한이라고 하더라도 자격을 갖추지 않은 사람은 임명이 불가능하다. 현 대통령실에 근무하는 정무직 공무원들에 대해서도 심심찮게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과거 음주운전 전력이나 성 비하 발언 등으로 문제가 된 인사들에 대한 자격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인사기준은 인재등용의 기준과 원칙을 잘 지키는지가 중요하다. 윤석열 정부는 오직 ‘능력주의’ 인사라고 한다. 하지만 검찰출신이 주요 요직에 대거 발탁되었다. 모두가 자격기준을 갖춘 사람들이겠지만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새로 출범하는 단체장의 성향이나 추진하고자 하는 공약 등과 맞물린 조직개편은 인적 쇄신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어느 정도의 인사는 예고돼 있다.기존에 고착된 공직의 서열문화를 깨기 위해서는 발탁 승진 제도화가 필요하며, 연공서열, 나이까지 고려되는 승진은 조직경쟁력을 심각히 저해할 수 있다. 열심히 일하고 성과를 내면 승진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있어야 열심히 일하는 공직문화가 조성될 수 있다.지자체의 수장은 조직·인사, 일하는 방식의 장단점을 정확히 파악해 의전 중시, 학연·지연, 소통 부재 등 구시대적이고 폐쇄적인 조직문화를 개선하고 실적에 따른 합당한 원칙의 잣대로 인사를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