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당대표의 성비위 의혹을 두고서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의 논의를 거듭하다 다음달 7일로 연기된 가운데 지난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 공적 가운데 이준석 대표의 이름이 자주 언급돼 정권교체를 기대했던 국민들의 심기를 거스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준석 대표와 그의 측근의 입에서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가 국민의힘의 승리였으며, 이 대표의 현명한 지도와 관리 결과였다는 뜻의 발언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의 경우, 당 외 인사였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입당하지 않았을 때, 국민여론조사상 5%이상 지지율이 나온 예비후보가 단 1명도 없었다는 사실을 벌써 잊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홍준표, 유승민, 원희룡 예비후보들의 지지율은 20% 이상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들에 비해 비교 불가수준의 낮은 지지율이 아닐 수 없었다. 게다가 유력 후보 1명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름이 시민사회에 조금이라도 알려진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등록자는 12명이 넘었다. 토토리 풍년이란 비유가 딱 맞는 형국이었다. 그 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수사 관련자라는 비판도 받았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전격적으로 국민의힘에 입당하자 여야 대선 후보간 전세가 비등해졌다. 그런 가운데 홍준표 예비후보의 당내 지지세가 갑자기 급등하기 시작, 역(逆)선택의 결과란 비난을 받으면서 윤 전 총장 뒤를 바짝 뒤쫓는 상승세를 보여줬다. 이 또한 윤석열 효과라 아니할 수 없다.윤석열 예비후보가 당내 경선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됐지만, 홍 예비후보의 약진으로 인해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이 좀 더 많은 국민들의 관심을 끌어올 수 있었다. 결국 윤석열 예비후보로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이 마무리 됐지만, 윤 후보 역시 정권교체를 기대하는 50% 후반대의 국민 지지율을 모두 끌어오지는 못했다. 좌파정권의 청산과 함께 보수정권의 출현을 기대하는 국민이 최대 60% 가까이 됐지만, 윤 석열 후보는 마지막 여론조사까지도 50% 벽을 깨지 못했으며, 대선 유권자의 48.56만%의 지지를 얻어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2위 이재명 후보와의 표차이도 0.73%(25만표)에 불과한 수치였다. 이런 와중에 5% 이상의 여론조사 지지율을 보이는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대선은 결코 승리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대선 직전까지 안철수와 합당을 방해한 이가 이준석 대표였고, 반대를 넘어 패륜적 조롱까지 일삼았던 것으로 드러나지 않았는가. (유세차 사고로 사망한 국민의당 관계자의 영결식 관련 글까지 조롱)이외에도 대선 기간 내내 윤석열 후보를 정치를 모른다는 비하 발언과 조롱섞인 표현들만 해도 10여 가지가 넘는다. △윤석열은 김종인에 매달려야 한다. △윤석열 선거 치르기에 미숙하다. △비빔밥이 완성됐다. 윤석열은 당근이다. 나는 당근 안 먹는다. △윤석열은 용기를 잃었다. △윤석열의 미숙함은 과거 안철수를 떠오르게 한다. △윤석열 8월 입당 안하면 윤석열 캠프 모두 징계하겠다. △윤석열 곁에 하이에나가 있다. △멧돼지가 있다. △파리떼가 있다. △윤석열이 당선되면 지구를 떠나겠다. △유승민 대통령 만들겠다. △윤석열 대선판 버틸 재산 없다. △윤석열은 정치 초보다. △윤석열은 아무것도 모른다. △윤석열 입당 늦으면 수입산 쇠고기. △윤석열과 관계없이 대선 기차는 떠난다. 오기 싫으면 오지마라. △윤석열이 어떤 말하든 본인 자유지만 결과는 책임져야 할 것. △윤석열 정치 모른다. 도움이 필요한 상황. △윤석열 아마추어 티 난다. △윤석열 트렌드가 늦다. △윤석열 공상과학 소설 쓰지 마라. △김종인은 윤석열에 관심 없어 보였다. △윤석열 선거 치르기에 미숙하다. 앞뒤 전후를 살펴보면 결국 이준석이 당대표란 직함을 갖고 이렇듯 온갖 비열한 방법을 동원,선거 방해를 계속했지만 윤석열 자체의 힘과 저력, 정권교체를 강력히 희망하는 국민들의 한 맺힌 의지가 결합해 이뤄낸 승리라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이런 독설을 대선 기간 내내, 당대선 후보 뒤에서 저격한 자가 대선 승리에 공헌했고 리더십을 발휘해 대선을 승리로 이끌었다고 과연 말할 수 있을까. 일부 국민은 일시적으로 속일 수 있어도 하늘은 속일 수 없다. 이런 일들을 벌여온 자가 성상납과 수천만원에 이르는 돈과 선물 수수(授受) 의혹을 받고 있고, 당 중앙윤리위원회 역시 현재 이러한 사실 관련 `증거인멸 시도`의 진위를 조사하고 있다. 첫 진상조사 결과 윤리위는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에게 ‘증거 인멸 의혹 관련 품위 유지의무 위반’의 이유를 들어 징계절차 개시를 확정했다. 심부름 한자가 징계를 받는다면 이를 지시한 자는 마땅히 더 큰 심판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며 국민정서다. 모 정치인은 "주범(主犯)을 압박하기 위해 종범(從犯)부터 처벌에 들어간 것이고, 당대표 심의를 2주 늦춘 것은 그동안 스스로 결단을 내리라는 뜻을 담은 경고"라고도 말했다.‘전(前) 정권의 말로 다할 수 없는 경제 폭정·실정으로 고물가(高物價) 속 고달픈 삶을 살아야 하는 국민들이 여당 대표 관련 지저분한 성(性)논란까지 2주간 더 듣고 봐야 한다는 현실에 참담함을 금할 길 없다’고 비판하는 이들이 하나둘이 아니다. `국민을 편하게 하는 것이 정치`라면 이러한 사태를 초래한 이들은 형사법적 유죄 여부와 관련 없이 국민정서법상 유죄가 아닐 수 없다. 대중의 인기와 지지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정치인이라면 남에게 폐를 끼친 부분에 대해 최소한 부끄러움 정도는 느낄 줄 아는 기본 인성은 갖춰야 마땅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