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육우는 어쩔수 없이 사료를 종전대로 주고 있지만 암소는 하루 사료량을 3분의 1로 줄일 수밖에 없지요. 소가 다른 소를 잡아먹는 셈입니다" 사료값 급등에 소값은 폭락하면서 축산농가들이 절망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 최대 축산단지인 충남 홍성군의 한우협회 심성구 지부장(54)은 8일 축산농가의 심정을 이렇게 전했다. 암소 40마리와 수소 70마리 등 소 110마리를 키우고 있는 심 지부장은 "암소는 1마리당 하루에 사료 4㎏을 주던 것을 1.5㎏으로 줄이고 돈이 들지 않는 볏짚 등으로 허기를 채우게 하고 있다"며 "수소는 사료량을 줄이지 않고 있지만 큰소는 하루 사료량이 10㎏에 달해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사료를 먹이고 있다"고 말했다. 220만~230만원에 송아지를 들여와 20여개월을 키운 뒤 내다 팔면 암소가 200만원, 수소도 300만원 이상을 받기 어려운 실정에서 소 1마리당 평균 100만~150만원을 손해보는 셈이라는 것. 심 지부장은 "한달 사료값이 600만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소 3마리를 팔아야 사료값을 댈 수 있다"며 "결국 소가 소를 잡아먹는 셈"이라며 허탈해 했다. 그는 "최근 한우를 군납으로 활용한다고 하는데 상황이 이렇게 악화되기 전에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주면 얼마나 좋겠느냐"며 "정부가 의미있는 대책을 내놓기 전까지 계속 시위 등을 통해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인근 서산시와 태안군의 축산농가들로 구성된 충남 한우협동조합 김춘배 조합장은 "조합원이 410여명 가량인데 최근 6개월 이상 사료값이 연체돼 연체액이 무려 6억원에 달한다"며 "조합원들에게 사료값을 독촉해봤자 신경질적인 반응만 돌아온다"고 푸념했다. 일부 지역에서 사료값을 감당하지 못해 소를 굶겨 죽이는 일이 발생하는 가운데 그는 "짐승을 어떻게 굶기냐"며 "아직 그런 사례는 없다"고 전했다. 김 조합장은 "종전에는 조합내에서 사료값을 선금으로 주거나 현찰로 지불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은 대부분 외상"이라며 "소를 팔아치우고 축산업을 접는 도산농가가 벌써 10여곳에 달한다"며 한숨을 쉬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