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사립대에서 신입생 수를 늘리려고 응시학과명이 안 적힌 `백지 원서`를 받거나 고등학교 3학년 교사에게 상품권 등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작년 7∼9월 부실 우려가 있는 사립대 22곳의 학사운영ㆍ회계관리 실태를 점검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A대학 교직원 32명은 학생 114명에게 추후 희망하는 학과로 전과시켜주겠다는 확약서를 발급해주고 응시학과가 기재되지 않은 입학원서를 받아온 뒤 합격 가능한 학과를 자신들이 대신 기재했다. B대학 등 3곳은 면접ㆍ실기점수를 조작해 동점자를 대거 만들어낸 뒤 모집인원보다 초과해 응시자를 전부 뽑기도 했다. 떨어진 학생에게는 "미달 학과로 입학하면 추후 전과시켜주겠다"고 약속해 추가 모집으로 뽑은 뒤 사실상 입학과 동시에 전과를 허용해준 대학도 있었다. C대학은 신입생 확보를 위해 최근 3년간 인근 고교 3학년 담임교사 등에게 14억7천여만원의 상품권, 숙박권, 현금 등을 줬고, D대학은 신입생을 추천한 재학생에게 추천학생 1명당 10만원의 `발전장학금`을 지급했다. 교원 급여를 신입생 충원율에 연계해 지급한 대학도 있었다. 또 자퇴 등 중도탈락 학생을 줄여 재학생 충원율을 높이려고 수업시수가 미달한 학생에게도 학점과 학위를 수여한 곳도 태반이었고, E대학 등 4곳은 원거리 직장인을 신입생으로 유치해 주말ㆍ야간에 편법으로 단축수업을 해 1천400여명에게 학점을 부당하게 주고 이중 800여명에게는 학위까지 줬다. 감사원은 또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육여건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대학도 학과를 증설하거나 정원을 늘릴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운영하고 있고, 일부 대학이 구조조정 이행 실적을 허위로 보고하는데도 이를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관련 내용을 교과부에 통보해 문제가 드러난 대학에 적정한 조치를 취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앞서 감사원은 작년 11월3일 대학 재정 운용실태 감사 결과를 중간 발표했으며 이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학 관리 분야의 감사 결과를 지난달 22일 감사위원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 이날 공개했다. 이번 감사의 핵심인 등록금 책정ㆍ재정운용 분야 등에 대한 최종 감사 결과도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