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당의 이념과 가치를 담은 정강을 상당 부분 수정키로 하면서 당 노선에 적잖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비대위가 정강에서 `보수` 표현 삭제를 검토하는 것과 아울러 `큰 시장 작은 정부`로 대변되는 현행 신자유주의 정책기조와도 사실상 `결별` 수준의 차별화를 할 것으로 보여 향후의 새 한나라당은 현행 체제는 물론 이명박 정부와도 이념과 정책 측면에서 상당히 차별화된 길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당 일각에선 이 같은 움직임을 MB정책 폐기, MB 차별화의 신호탄으로 여기고 있다. 당장 정책 측면에서 현 정부의 대표 공약이자 성장주의 정책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당내 쇄신파로부터 비판을 받아온 `747 공약`(연평균 7% 성장, 소득 4만달러 달성, 선진 7개국 진입)이 공식 폐기선언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김종인 비대위원은 그간 언론 인터뷰를 통해 "`747 공약`은 허구로, 이미 실현 불가능한 목표로 판명 난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또 현행 정강ㆍ정책에는 `큰 시장 작은 정부의 기조에 입각한 활기찬 선진경제를 지향한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 등의 기조가 담겨 있으나 이 또한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일례로 대기업 위주의 정책기조가 대ㆍ중소기업 상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선회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강정책ㆍ총선공약 분과위 자문위원인 권영진 의원은 5일 국회 브리핑에서 "성장, 개방 일변이 아닌 상생발전을 중요한 정책적 가치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복지부문에 있어 `재정적으로도 지속가능성이 담보되는 자생복지체계`라는 보수적 복지 개념 대신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강조하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라는 적극적인 표현이 들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북정책에 있어서도 현 정부의 엄격한 상호주의를 대신하는 전향적인 정책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권 의원은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시대정신, 그리고 국민적 요구를 반영해 정강정책을 새롭게 보완 개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대북 정책과 관련해서는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더욱 새로운 통일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유연한 대북정책 기조를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