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과 당국의 보이스피싱 단속에도 피해는 계속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9일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4분기(12월16일 기준) 서울 지역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건수는 전 분기 864건보다 17% 늘어난 1천12건에 달했으며 피해액은 총 152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반기 발생 건당 피해액은 평균 약 1천500만원으로 상반기 1천만원보다 500만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가짜 공공기관 사이트와 결합한 신종 카드론 사기 수법으로 피해가 많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보이스 피싱은 2006년도 475건이 발생, 피해액이 약 38억원에 그쳤지만 2011년에는 건수가 3천252건으로 늘어났고, 피해액도 10배 정도로 증가한 374억원에 달했다. 또 최근 대학 입시철을 맞아서는 대학입학처를 사칭한 전화로 `수시모집에 추가 합격했으니 지정계좌로 돈을 입금하라`고 속이는 사례가 등장하는 등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경찰은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절대 전화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묻지 않는다며 현금인출기로 유도하는 전화는 100% 보이스피싱 전화이므로 곧장 112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경찰은 ▲기관 홈페이지 주소를 알려줘 접속을 유도하면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주소를 다시한번 확인하고 ▲평소 사용하지 않는 신용카드의 카드론을 차단하거나 한도를 `0원`으로 설정하며 ▲계좌 입·출금 통보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또 112에 신고하면 돈을 입금한 계좌에 대해 지급정지를 신청할 수 있으며, 범인이 인출 못 한 피해금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3개월 내에 돌려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국내에서 활동하는 송금·인출책을 소탕하기 위해 추적수사를 벌이는 한편 발신번호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업체를 지속적으로 단속하는 등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 활동을 계속할 방침이다. 한편 서울경찰청 수사과는 이날 중국 전화금융사기 조직에 속은 국내 피해자 20여명이 송금한 돈 12억원을 인출해 사기단에 전달한 대가로 1천200만원을 받은 혐의로 A(18)군과 B(16)군 등 10대 2명을 구속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