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2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공격 사건과 BBK 주가조작 사건을 전면에 내세우며 여권에 대한 `쌍끌이` 공세를 폈다.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이 디도스 사건과 관련해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은 것과 BBK 사건과 관련한 허위사실 유포 등 혐의로 수감된 정봉주 전 의원의 구명운동 본격화 등을 계기로 대여 압박에 나선 것이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진짜 몸통을 밝히겠다는 수사 당국의 의지가 부족했기 때문에 최 의원에 대한 조사가 늦어졌다"며 "대부분 국민은 최 의원이 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짜 몸통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며 "경찰의 부실수사와 청와대의 축소ㆍ은폐 의혹에 대해서도 성역없는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한나라당 비서들이 구속되고 최 의원까지 관련된 것이 밝혀진 이상 한나라당과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스스로 국민 앞에 사과하고 사건의 배후를 조사해 먼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검찰이 구렁이 담 넘어가듯 덮으려 한다면 특검을 통해 모든 의혹을 밝힐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대통령 측근 비리에 대한 공세도 이어졌다.
주승용 정책위의장은 "이상득 의원의 박배수 보좌관이 10억5천만원의 뇌물을 수수했는데도 왜 이상득 의원을 소환하지 않는 것이냐"며 "국민은 권력의 눈치를 보는 검찰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BBK 사건과 관련한 허위사실 유포 혐의 등으로 기소돼 지난 26일 수감된 정봉주 전 의원의 구명위원회(`정봉주 구명위원회`)는 이날 첫 회의를 열었다.
위원장을 맡은 천정배 의원은 "정 전 의원을 구출하기 위한 전쟁을 시작한다"며 "법적, 정치적 모든 수단을 활용해 대대적인 구명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종걸 의원은 "정 전 의원 사태야말로 진실이 가려지고 민주주의가 위기의 조짐을 보이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정봉주 구명위원회는 현행 공직선거법을 개정하는 내용의 `정봉주법`을 추진하고,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서명운동, 청와대 1인시위, 법무부장관 항의방문 등을 벌이기로 했다.
전세계 비정부기구(NGO)와 엠네스티 유엔인권이사회 등에 이번 사건을 알리는 국제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