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박근혜)가 27일 국회의원의 회기내 불체포 특권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비대위는 이날 여의도당사에서 첫 회의를 열고 국회의원의 기득권 포기 차원에서 이같이 의견을 모으고 의원총회를 통해 당론으로 확정짓기로 했다고 황영철 비대위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황 대변인은 "국회의원의 검찰 수사 등과 관련돼 회기 내에 불체포 특권을 남용해 검찰 수사에 성실히 임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해, 한나라당 의원부터 회기내 불체포 특권을 포기하는 것을 의결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또 지난 10ㆍ26 재보선 당일 발생한 중앙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과 검찰 수사, 친인척 비리, 정치권 부패에 대한 검찰 수사는 성역없이 그리고 국민 의혹이 완전히 해소될 때까지 철저하게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황 대변인은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은 야당을 위한 성격이 강해 민주당에는 요구할 수 없어 한나라당 스스로 먼저 포기하고, 향후 국회 전체로 확산시켜 국회의원들이 법 질서를 지키고 국민과 동등한 위치에 있도록 요구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법 개정은 필요없으며, 의총에서 당론으로 정해 우리 스스로 포기를 결의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면책특권`의 경우, 국회의원의 정부 감시나 여야간 논쟁 속에서 나올 수 있는 준비되지 못한 발언 등에 관련된 부분이라는 점에서 불체포 특권 포기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또 `디도스 사건`과 관련, 비서가 구속된 최구식(경남 진주갑) 의원의 자진 탈당을 권유하기로 의결했다.
최 의원이 책임을 지는 행위가 있어야 하고, 검찰 수사로 무죄가 입증되면 그때 당에 복귀하면 된다는 쪽으로 비대위는 입장을 정했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디도스 사건에 대한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산하에 `검찰 수사 국민검증위`를 설치키로 하고, 최연소(26세) 비대위원인 이준석 비대위원을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황 대변인은 "디도스 사건에 대해 외부인사들이 참 많은 말을 했다. 한나라당이나 청와대가 관련되지 않았다고 얘기하는 것을 상식적으로 믿어주는 국민이 별로 없다는 것"이라면서 "검찰 수사가 발표되고 의혹이 있으면 국민적 시각에서 국민검증위에서 검증하고, 검찰의 해명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 의원의 자진 탈당 요구에 대해서도 "외부 비대위원들의 의견이 상당히 반영됐다"고 부연했다.
한편 비대위는 산하에 4개 분과위를 설치했다. 정치개혁과 공천개혁을 담당하는 1분과위는 이상돈(위원장)ㆍ김세연ㆍ주광덕 비대위원으로 구성됐고, 새 정당정책과 총선공약을 담당하는 2분과위는 김종인(위원장)ㆍ이주영ㆍ이양희 비대위원이 참여했다.
또 온.오프라인 여론 수렴과 국민 소통을 담당하는 3분과위는 이준석(위원장)ㆍ조현정 비대위원으로, 인재영입을 위한 4분과위는 조동성(위원장) 비대위원이 각각 맡기로 했다.
각 분과위는 비대위 2~3인과 외부전문가 2~3인, 국회의원 2~3인 등 9명 정도로 구성된다. 비대위는 매주 한 차례 월요일 오전 9시에 전체회의를 갖기로 했다. 다만 이번 주는 당직 임명과 관련된 부분이 있어 30일 오전 8시30분에 개최된다.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