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체의 연간 매출액이 전체 사업체 평균 매출액의 1/7 수준도 안 될 정도로 영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0년 기준 경제총조사 잠정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인 이상 전국의 모든 사업체를 대상으로 했다. 전 산업의 고용, 생산 등을 동일 시점에서 통일된 기준으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개인사업체 수는 전체 83.2%…매출액 비중은 11.3% 그쳐 = 통계청의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전국의 사업체수는 335만5천개로 이 가운데 개인사업체가 279만3천개(83.2%)로 다수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회사업인이 35만3천개(10.5%), 비법인단체 11만6천개(3.5%), 회사 이외 법인은 9만4천개(2.8%)였다.
개인사업체는 수는 많으나 종업원수나 매출액 측면에서 `구멍가게` 수준을 면치 못했다.
개인사업체에 속한 종사자수는 690만명으로 업체당 종사자수가 2.5명에 불과했다. 전 산업의 업체당 종사자수인 5.3명의 절반도 안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회사 법인은 업체당 평균 종사자수가 21.8명, 회사 이외 법인은 28.3명에 달했다.
2010년 기준 전 산업의 연간매출(출하)액은 4천283조9천820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개인사업체의 매출액 비중은 11.3%에 그쳤다. 수적으로 전 산업체의 83.2%나 됐지만 매출액 측면에선 미미했다. 사업체 수 비중이 10.5%에 그친 회사법인이 한해 벌어들인 돈은 전체 산업 매출액의 77.6%나 됐다.
이에 따라 업체당 연간 매출액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개인사업체는 업체당 매출액이 1억7천400만원으로, 전체 평균인 12억7천700만원의 1/7에도 미치지 못했다. 회사법인의 업체당 매출액인 94억2천800만원과 비교하면 1/54 수준이다.
◇개인사업체 비중 큰 4대 업종도 영세 = 산업별로 보더라도 숙박 및 음식점업(98.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3.8%), 운수업(93.8%), 도매 및 소매업(88.2%) 등 개인사업체 비중이 큰 산업이 상대적으로 영세한 편이었다.
종사자 규모를 보면 5명 미만인 사업체가 전체 산업의 83.6%에 달했다. 5∼9명은 8.4%, 10∼49명은 6.7%, 50∼99명은 0.8%였다. 대기업 수준이라고 볼 수 있는 300명 이상 사업체는 0.1%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운수업의 5인 미만 사업체 비중이 94.9%에 달했다.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93.8%), 숙박 및 음식점업(91.6%), 도매 및 소매업(90.1%) 등 개인사업체 비중이 큰 산업 역시 종사자수가 많지 않았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