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이나 교리는 잘 몰라도 문학으로 읽는 성경, 생활로 읽는 성경이라면 내가 거들 수 있는 작은 몫이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 시대 최고의 지성`으로 꼽히는 이어령(77) 전 문화부장관이 새로운 방식의 성경 읽기를 제시한 안내서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열림원)를 발간했다. 수십 권의 저서를 통해 해박한 지식을 과시해 온 이 전 장관이 성경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07년 7월 개신교로 귀의한 이 전 장관은 지난해 3월 자신의 신앙을 고백한 책 `지성에서 영성으로`를 출간한 바 있다. 이 전 장관은 2007년 당시 온누리교회 등이 일본에서 개최한 문화선교집회 `러브 소나타` 행사 때 하용조 목사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그는 미국에서 검사로 활동하다가 개신교 신앙을 갖게 된 딸 민아 씨에게 닥친 암과 실명 위기 등을 겪으며 세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세례를 받은 지 4년이 된 이 전 장관은 성경 속 상징을 키워드로 삼아 문화사적 맥락을 더듬는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세부 요소와 플롯 등을 집어내 해석하는 방식이다. 분석 대상에 오른 상징은 이 전 장관의 방대한 지식과 맞물리면서 소설 읽는 재미에 버금가는 즐거움을 준다. 이 때문에 개신교 신자가 아니거나 성경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더라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성경 원서의 `빵`과 한글 성경의 `떡`을 비교하는 대목은 시학적 독서법을 주문하는 이 책의 하이라이트다. 이 전 장관은 빵을 떡으로 번역한 것은 제유법이라는 수사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온 오류임을 지적한다. "주기도문에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라는 구절이 있지만 영어 성경에는 그것이 일용할 빵(daily bread)으로 되어 있습니다. 성경에서 빵은 이렇게 양식 전체 혹은 더 확장하면 의식주의 모든 물질적 생활을 상징하는 제유적 의미로 쓰이고 있지요. 그렇기 때문에 빵처럼 식탁 위에 매일 오르는 음식물을 어쩌다가 명절 잔칫날에나 먹는 떡으로 옮긴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중략) 단어 하나가 아니라 성경의 수사 구조 전체가 망가지고 말 것입니다."(25쪽) 이 전 장관은 또 성경에 자주 등장하는 `낙타`를 설명하면서도 남다른 문화적 지식을 활용한다. 성경 중 `부자가 천국에 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구멍으로 들어가는 게 더 쉬우니라`라는 구절을 인용하면서 낙타의 히브리어 표기는 `gamla`이고 밧줄은 `gamta`인데 두 단어의 철자가 비슷해서 `밧줄`을 `낙타`로 잘못 번역했다는 설을 소개한다. 그는 성경을 읽을 때 이런 수사학적 독법과 함께 문화와 생활양식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최후의 만찬은 유월절 전날에 열렸는데 유월절에 희생양을 바치는 유대인의 풍습을 알지 못하고서는 최후의 만찬이 갖는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전 장관은 `책 뒤에 붙이는 남은 말`에서 "생활과 문화 코드가 다른 사람들이 성경을 읽는다면 어떻게 될까"라며 "그 생각을 적은 것이 바로 이 작은 책"이라고 글을 쓴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340쪽. 1만7천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