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출신과 대구에 거주하는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구사 능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지난 9월5일부터 10월20일까지 실시한 `전국 다문화 가족의 국어 사용 환경 기초 조사`에서 일본 출신 결혼 이민자의 62.8%가 한국어 능력 검사에서 90점 이상(100점 만점)을 받았다.
일본에 이어 한국계 중국인(55.7%), 몽골(45.6%) 출신 결혼 이민자가 고득점을 올렸다. 30점 미만의 낮은 점수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로는 필리핀(21.3%)이 꼽혔다. 조사 대상인 9개 나라 이외 기타 지역 출신도 21.4%가 30점 미만의 성적을 나타냈다.
시·군으로 나눠 시행된 지역별 조사에서는 대구 거주자의 45.5%가 90점 이상을 거뒀다. 강원도 군 단위(40.8%)와 경기도 군 단위(40.0%)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결혼이민자들은 한국 생활을 하면서 힘든 점으로 `공공 기관 이용 시 의사소통의 어려움`(23.5%)을 첫손에 꼽았다. 전화 내용이 이해되지 않을 때(23.3%)도 힘든 상황으로 제시했다.
또 결혼이민자의 55.3%는 한국에 오기 전에 한국어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한국어 학원(34.0%), 독학(29.6%), 학교(21.2%)를 통해 한국어를 배웠다고 답했다.
한국에 와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나 주민센터 등 행정기관(69.9%)을 이용해 한국어 공부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응답자의 28.7%는 한국어 공부를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등 언어 기능에서는 많은 응답자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서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4단계로 나눠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6.5%(듣기, 쓰기)∼51%(말하기)가 1단계에 머물고 있었다.
국립국어원은 "다문화 가족이 처한 환경에 따라 국어 사용 양상이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한국어 능력에도 차이를 보였다"며 "한국어 실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