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대 연봉을 받은 회사원은 작년에 27만9천명으로 2009년보다 42.3%나 급증했다. 소득 대비 기부금 비율은 억대 소득자보다 4천만원~1억 이하 중산층이 더 높았다. 국세청이 22일 발간한 `2011년판 국세통계 연보`를 보면 지난해 총급여액 1억원을 넘는 근로자가 27만9천명으로 1년 전(19만6천명)에 비해 8만3천명 늘었다. 전체 근로자(1천514만명)에서 억대 연봉자의 비율은 1.4%에서 1.8%로 높아졌다. 업종별 억대 연봉자는 제조업(32.6%)이 가장 많았고 금융·보험(21.1%), 서비스업(14.6%) 순이었다. 국세청은 "작년에 경기가 다소 좋아진데다 기업 실적이 호조를 보인 덕분에 고소득 연봉자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연간 소득이 높을수록 종합소득 대비 기부금 비율은 줄었다. 1억 초과~5억 이하 소득자의 기부금 비율은 소득액의 1.92%(1인당 341만원), 5억 초과 소득자는 1.62%(2천152만원)였다. 기부금 비율은 8천만원 초과~1억원 이하에서 2.08%(186만원)로 가장 높았다. 4천만원 초과~8천만원 이하 소득자는 2.02%(112만만원), 1천만원 초과~4천만원 이하는 1.44%(28만원), 1천만원 이하는 0.71%(3만원)다. 국세청은 "종합소득금액 4천만원 초과~1억원 이하가 전체 기부금 신고자의 30.8%였다. 금액 비중도 30%에 달해 기부활동이 가장 활발했다"고 설명했다. 자영업자의 변동을 알 수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자는 50대가 2009년 22.7%에서 2010년 24.3%, 60대가 12.5%에서 12.9%로 늘었다. 주소별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울산이 3천4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은 3천만원, 경기는 2천600만원이었다. 평균 급여가 적은 곳은 대구(2천300만원), 제주ㆍ인천(이상 2천200만원)이다. 양도소득세 신고로 볼 때 자산 중 양도차익률은 주식이 71.5%이 최고였다. 특히 코스닥의 양도차익률은 74.3%나 됐다. 토지와 주택은 각각 64.3%, 33.3%였다. 전문직 가운데 1인당 연간 매출액(과표기준)은 변리사(6억1천800만원), 변호사 (4억2천300만원), 관세사(3억3천900만원)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신용카드 사용액은 1년 전(2009년)보다 77조원(20.4%) 늘어난 456조8천억원, 현금영수증 발급액은 7조원(10.6%) 증가한 76조원이다. 국세청의 작년 세입은 166조원으로 집계됐다. 세무서별로는 증권사 등 금융기관이 밀집한 영등포세무서의 세수가 12조3천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2005년 이후 선두자리를 지켰던 남대문세무서(11조1천억원)는 2위로 밀렸다. 국세청은 통계연보 책자를 2천360개 기관에 배포하고 홈페이지(www.nts.go.kr)에 게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