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대북`보다는 ‘안보’ 대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감정이 묻어나는 조의를 표시하지 않은 채 국내의 `단합`을 강조하는 흐름이 잇단 발언에서 뚜렷해지고 있다.
한반도 정세에 대한 변동성이 높아진 시점에서 대북ㆍ안보이슈를 둘러싸고 `남남갈등`이 깊어지고, 나아가 국론분열과 국민불안이 야기되는 상황을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박 비대위원장은 21일 정치권의 논란거리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는 국회 차원의 방북 조문단 파견에 대해 신속하게 선을 그었다.
민주통합당 원혜영 공동대표의 예방을 받은 자리에서 그는 `국회조문단` 제안을 받자 "이런 문제는 정부가 가진 방침과 같이 맞춰가 주는 게 순리"라며 "북한이 해외 조문단을 받지 않는다는 입장이 나온 상황에서 우리가 먼저..."라고 말했다고 배석했던 황영철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힌 셈이다.
정치권은 지난 1994년 김일성 북한 주석 사망 후 조문단 파견문제를 놓고 촉발됐던 이념대립 양상을 서둘러 차단하려는 의지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 국회 조문단 문제로 한나라당 내 갈등이 불거지고, 여야가 정쟁 속으로 빠져들 경우 정치권이 또다시 민생문제에서 멀어지며 국민의 외면을 자초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도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취임 후 첫 공식일정인 21일 중진의원들과의 간담회를 주재한 자리에서도 `여야 간 초당적인 협력과 대처`를 강조했다.
`비상시국`인 만큼 정쟁을 뛰어넘어 단합하라는 요구로 받아들여진다.
그는 "김 위원장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에 대해 국내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이런 때 여야 간 초당적인 협력과 대처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날 전격적으로 타결된 여야 간 국회정상화도 "정말 다행스럽고 반가운 일"이라고 환영하면서 여야가 큰 정치력을 발휘해줄 것을 당부했다.
정치권 일부에서는 보수층의 지지기반을 갖고 있는 박 비대위원장이 민감한 안보이슈에서 전향적인 입장을 취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보이고 있다.
지난 2002년 자신과 단독회담을 가졌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인 만큼 감회가 남다를 수도 있겠지만, 박 전 대표는 개인적인 감정을 자제한 채 정부와 궤를 같이하는 대처법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전날 이두아 한나라당 원내대변인이 발표한 공식 입장도 "김 위원장의 사망에 즈음하여 북한 주민들에게 위로를 표하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