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내년 김일성 주석 100회 생일(4월15일)에 맞춰 강성대국 진입을 선언하려던 북한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김정일이라는 ‘상징’이 사라진데다 축제 행사인 강성대국 선포가 북한의 ‘국상 기간’과 맞물려 있어 시기적으로 세리모니를 하기에도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북한은 강성대국을 “국력이 강하고, 모든 것이 흥하고, 인민들이 세상에 부럼 없이 사는 사상ㆍ 군사ㆍ경제강국”으로 설명하면서 이를 달성하는데 매진해왔다.
김정일 위원장이 사망 직전까지 주민들을 독려하기 위해 끊임없이 현장지도를 다닌 것이나 북한의 권력서열 4위이자 경제수장인 최영림 내각총리가 81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생산현장을 누빈 것도 북한 지도부의 강성대국에 대한 집념을 웅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최 총리는 지난 10~11월 생산현장을 둘러보고 대책회의를 하는 현지요해, 내각 전원회의, 외빈 접견까지 하면서 사실상 북한 전역을 순회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맨 앞자리에서 사라지면서 추진 동력이 약해지고 후계자인 김정은 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체제 정비과정에서 아버지와의 기치인 강성대국의 방향 전환을 시도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이 20일 내다봤다.
김일성 주석 사망시에도 김 위원장이 유훈통치를 통해 정통성을 확보한 것처럼 김정은 부위원장도 슬로건 자체는 가져가겠지만, 그 속에서 변화를 모색할 것이란 분석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강성대국이란 캐치프레이즈는 계속 갈 것”이라면서 “김일성 사망시의 전례를 보면 김정은도 일정 기간 유훈통치를 거친 뒤 정책전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강력한 리더의 유고 상황에서 국정 목표도 수정될 수 밖에 없다”면서 “내년에 강성대국을 선포한다하더라도 목소리를 낮추거나 목표치를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4월 선포식을 거친 뒤 김정은 체제가 어느정도 다져졌다는 판단이 들 경우에는 새로운 방향을 잡아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