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 딸린 섬과 바위들이 새 이름을 갖는다.
정부는 독도의 영유권 강화와 국제법적 지위 향상을 위해 아직 이름이 없거나 외래어 또는 군사용어 등으로 불리는 독도의 주변 섬과 바위 등에 대해 새 지명을 붙이기로 했다.
국토해양부 국토조사과, 울릉군은 5일 독도 현지를 방문해 독도의 봉우리와 섬, 바위 등에 대한 지명조사에 착수했다.
6일 울릉군 관계자는 “독도는 동도와 서도 등 2개의 큰 섬과 89개의 작은 섬 및 바위 등으로 이뤄져 있어나 이에 대한 지명은 현재 22개뿐이다”고 밝혔다.
1961년 `독도`, 2000년 `동도`와 `서도`, 2006년 `코끼리바위`와 `물오리바위` 등 부속 섬과 바위 22개의 이름이 고시된 것이 전부다.
하지만 지금까지 비공식적으로 불리는 독도의 바위 이름이 동키바위, 탱크바위, 권총바위 등의 명칭으로 통용되고 있다.
특히 정식 명칭이 없는 해발 98.6m의 동도 상단부와 168.5m의 서도 봉우리 등 부속 섬의 이름도 제각각이어서 표준화된 명칭 부여가 시급한 상황이다.
심지어 일부 초중고 교과서조차 제각각 다른 이름으로 사용하면서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국토부와 울릉군 지명위원회는 독도에 대한 3차원 정밀측정을 통해 정확한 지형 분석을 마친 뒤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섬과 바위, 봉우리의 이름을 정식으로 짓기로 했다.
국토부는 7일까지 현장 조사를 벌인 후 울릉군과 경북도를 거쳐 중앙 지명위원회를 열고, 9월까지 독도 주변 지명을 제정한다는 방침이다.
국토해양부 국토조사과 관계자는 "주민들의 의견을 종합해 정식 이름을 붙여줄 계획"이라며 "독도 지명을 국가표준 명칭으로 제정하는 것은 실효적 지배와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조영삼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