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남구 장기면 일대의 화력발전소 건설을 두고 찬반양론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포항시의회의 입장 표명이 조속히 요구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다국적 전력기업인 MPC 및 MPC코리아홀딩스가 추진했던 장기면 일대의 화력발전소 건설은 지역민과 환경단체의 강력한 반발과 함께 자본이 불투명하다는 이유 등으로 포항시의회의 반대로 무산됐었다.
그러나 최근 국내 대기업인 현대건설이 장기면 일대 바닷가 180만㎡에 8조원을 들여 2015년부터 2020년까지 2단계에 걸쳐 5000㎿급 화전을 건설하기로 하고 최근 사업계획서를 시에 제출하면 재추진 여론이 뜨겁게 가열되고 있다.
이 과정에 화력발전소 건설 재추진에 결정적인 열쇠를 쥐고 있는 포항시의회는 지난 5월 회기 때 별다른 의결도 없이 이를 거론하지 않고 6월 회기로 미뤄버렸다.
이를 두고 포항시민들은 “시의회 하반기 의장선거가 코앞이라 지역민의 여론을 의식해 포항시의 미래를 좌우할 수도 있는 사안의 결정을 미뤄버렸다”며 “이는 명백한 개인의 영달만을 쫒는 포항시의회 의원들의 직무유기”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또 “생태계를 살리는 관광산업과 포스코에 편중된 지역의 산업구조 개편이냐를 두고 편 가르기 구도까지 보이는 현실을 애써 외면하는 시의회의 의도를 모르겠다”며 “지역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떠 오른 화력발전소 결정이 더 이상 표류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덧붙여 “지난해 9월 ‘화력발전소 유치 신중검토 촉구결의안’까지 발표하며 의지를 보였던 포항시의회로 돌아와 사업주체와 주요사업조건이 새롭게 변경된 현재 상황에 대한 가부(可否)의 판단을 조속히 내려 지역민들의 갈등을 해소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포항시와 포항지역발전협의회 등 지역 경제계에서는 “ 8조원의 화력발전소는 포항제철소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단일산업으로 전력공급을 안정화시키며 향후 현재 포스코에 편중된 포항의 산업구조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성장 산업이다”며 이를 반기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나 지난해 주변 어업피해와 청정바다 훼손 등 생태계 파괴를 앞세워 반대의사를 표명했던 포항 경실련과 포항 환경운동연합 등은 다시 화력발전소 유치를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또 다른 반대 측 인사는 “어차피 현대건설이 중국 MPC와 합작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만큼 이름만 현대건설이고 결과적으로 중국MPC가 들어오는 것 아니냐”며 “주체성이 확실치 않은 화력발전소 유치 주장은 철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최근 춘천시에서 건설하려던 포스코건설의 MPC열병합발전소도 환경문제 등으로 무산됐다”며 “어업환경 등 자연 생태계를 고려한 충분한 사전검토가 우선되고 난 이후 화력발전소 유치에 대한 결정이 내려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신윤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