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7년부터 방사선 대신 전파를 이용, 안전하고 편리하게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인의 6대 암 중에 하나인 유방암을 3㎓대역의 전파를 이용, 영상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임상실험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승인을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유방암 영상의학 권위자인 문우경 구혜령 서울대 교수팀은 앞으로 3년간 본격적인 임상시험에 들어간다. 오는 2017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연구성과는 방통위가 작년부터 38억원을 투입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흥남)이 순수 국내 기술로 직경 5㎜ 크기의 유방암을 진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해외의 1~2cm 진단 기술과 비교해도 최고 수준의 성능이다.
앞서 ETRI 연구팀은 동물 임상실험에 성공하고 의료기기 시험검사에도 합격했다.
최근 암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암 조기 진단을 위한 검진 횟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검진 시 주로 활용하고 있는 X선 촬영의 경우 인체가 방사선에 노출된다는 부담이 있었다.
전파를 이용한 유방암 영상진단시스템은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에서 정한 전파의 인체 흡수율 기준보다 약 1천배 이상 낮은 수준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전자파에 대한 우려도 적다.
기존 X선·CT(컴퓨터단층촬영)장비와 달리 전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방사선 노출 걱정이 없고 MRI(자기공명영상)와 같이 조영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특히 의료진이 정확한 암 판독을 할 수 있도록 암조직 특성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제공, 오진 확률을 낮췄고 검사대에 엎드린 상태에서 진단할 수 있어 여성들이 불쾌감과 고통을 호소했던 유방 압착도 해소했다.
연구책임자인 ETRI 전순익 박사는 "전파를 이용한 유방암 영상시스템은 영상의학 발전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해 줄 것"이라며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의료서비스 제공으로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이번 임상시험과 더불어 초기 유방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고정밀 3D(3차원 입체) 영상진단 기술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연합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