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구심포럼은 심각한 수준에 이른 도심지 노후쇠퇴 문제의 전략모색을 위해 21일 시의회 3층 회의실에서 ‘도심재생 및 도시활성화 정책의 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국회의원 당선자와 시의원, 국토해양부 관계공무원, 대구시와 각 구청의 관계공무원 그리고 대학교수, 대구경북연구원, 대한주택건설협회, 언론인 등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모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또한 김희국 국회의원 당선자는 "독일의 라이프치히를 사례로 폐가, 공가 등 불량주택 정비를 통한 주민편의시설 공급방안을 제안하는 등 점(點)적인 정비에서 선(線)과 면(面)으로 나가는 점진적인 정비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김 당선자는 열악한 지방재정을 고려해 전액 국비 지원의 도시재생 사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해 세미나에 참석한 시의원과 관계공무원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대구만의 정체성을 살리는 도시재생방안에 대해 대구대학교 홍경구 교수는 “현재의 뉴타운법은 수도권 위주의 법으로 지방 현실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의 법체제에서는 도시재생이 불가능 하므로 대구시의 실정에 맞는 도시재생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구경북연구원 조득환 박사는 "현재 국회에 발의된 도시재생 특별법안은 장소 중심의 지방도시 위주의 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화자 대구시의회 의장은 “아파트 단지 이외의 결과물이 나올 수 있게 지역 실정을 살릴 수 있는 법이 제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국토해양부 도시재생과 김계흥 사무관은 특히 대구는 전국적인 뉴타운 광풍에도 뉴타운이 많이 지정되지 않았으며, 이는 대구의 정체성을 살리는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에 득이 될 것이다”라고 했다.
이날 세미나를 주관한 구심포럼 이재녕 회장은 “도심은 행정업무 위주로 재생되어야 하며 주거지 재개발을 통한 인구유입은 배제되어야 한다” 며 “광역시의 중심구를 직할 행정구로 개편하는 방향으로 지방자치법이 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도시디자인총괄본부는 현재 추진 중인 ‘원도심 역사문화 경관 구축 종합계획’을 대선공약화해 국가사업으로 추진해 줄 것을 건의했다.
조영준기자
joeyj@ksmnews.co.kr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