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 의공학과 4학년 김태훈(25 사진)씨는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동공계(瞳孔計․동공의 크기를 재는 기구)를 연구해 잇달아 상을 받았다. 지난 11~12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린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소속 학과 윤종인 교수의 지도를 받아서 쓴 󰡐스마트폰 동공계󰡑가 우수논문상에 선정됐다. 학부생이 우수논문상을 받는 일은 드물어서 그의 연구는 학계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 지난 3월 연세대 의료기기개발촉진센터에서 주최한 제4회 의료기기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같은 내용으로 우수상을 받았다. 동공계는 동공이 수축할 때와 팽창할 때의 크기 비율로 신경계 손상 및 안과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동공은 외부에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많으면 수축되고 어두운 곳에서는 팽창하는데,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기면 이러한 수축이나 팽창 같은 조절작용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동공계를 이용하면 당뇨, 파킨슨병, 호너증후군 등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김 씨는󰡒병원에서 사용하는 기존의 동공계가 크고 값이 비싸며 전문 의료진에 의해서만 사용된다는 점을 보완할 방법을 스마트폰과 연계해 생각했다󰡓며 연구배경을 밝혔다. 해외 의료기기 시장이 스마트폰을 접목하는 추세로 볼 때, 그의 연구는 세계시장을 겨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지난해 9월부터 약 6개월간 교내 의광학연구실에서 이 연구에 몰두했다. 그의 논문은 스마트폰 동공계의 프로토타입 모델을 실제로 제작하기 전에 예비실험을 수행해 제품 디자인의 타당성을 입증했다. 또 팽창된 동공과 수축된 동공의 영상을 각각 얻어 이를 영상처리 알고리즘으로 처리해 서로 다른 동공의 크기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특정 질환의 유무를 판별하도록 했다. 팽창 대비 수축 동공의 크기 비율이 4 이하이면 비정상이라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김 씨는 현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해 눈을 촬영하면 곧바로 진단결과가 나온다고 한다. 개발이 완료되면 특허출원도 할 계획이다. 그는 대학원에 진학해 의광학 연구, 특히 광유전학 연구에 매진하고 싶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