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를 주택투기지역과 거래신고지역에서 해제한다는 정부당국의 부동산 규제완화 발표에 건설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하지만 이날 상승이 최근 급락에 따른 일시적인 반등에 그칠 수 있다는 유보적인 평가가 나왔다.
증권업계 부동산 애널리스트들도 최근의 낮은 분양가 선호 현상을 고려하면 강남 3구의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비율이 낮춰지더라도 이번 규제완화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1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건설업종 지수는 전날보다 0.60%(1.01포인트) 오른 170.34로 마감했다.
한일건설은 전날보다 3.47%(55원) 오른 1천640원에 마감하며 상장폐지를 앞두고 정리매매중인 풍림산업(97.74%)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일성건설 3.19%, 삼호 3.12%, GS건설 1.74%, 한라건설 1.74%, 한신공영 1.71%, 신일건업 1.68%, 범양건영 1.57%, 현대건설 1.49%, 두산건설 1.40% 등의 상승률을 각각 나타냈다.
노무현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박아둔 `철통` 규제의 마지막 빗장이 풀림에 따라 건설 관련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날 국토해양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합동으로 마련한 `주택거래 정상화 및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 방안에 따르면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세 비과세 요건은 3년 이상 보유에서 2년으로 줄고 일시적 2주택자의 종전주택 처분 기한은 2년에서 3년으로 늘어난다.
1대 1 재건축은 기존 주택 면적의 10% 이상 늘려 지을 수 있게 된다. 재개발사업에만 적용됐던 용적률 인센티브제도는 재건축사업까지 확대된다.
하지만 삼호개발(5.13%), 동양건설(3.95%), 계룡건설(3.92%), 성지건설(3.41%)등은 급락세를 면치 못했다. 대우건설도 전날 같은 보합권에서 벗어나지 못해 이번 규제완화 조치 효과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수도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미래에셋증권 변성진 애널리스트는 "최근의 낮은 분양가 선호 현상을 고려하면 강남 3구 DTI 규제가 완화된다고 해도 그 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번 규제 완화가 매매가격 상승을 유발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돼 건설업 비중 축소 투자의견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변 애널리스트는 "과거 일본의 경우 부동산 버블 붕괴 이후 건설부문의 마진이 회복하기 전까지 지난 15년간 평균적으로 시장 대비 15% 할인을 받아왔다"고 덧붙였다.
하이투자증권 노기영 연구원도 "건설업종 주가에는 영향이 이미 반영이 됐다. DTI, 주택담보인정비율(LTV) 등 금융 규제 완화가 아직 안됐다는 점도 영향을 제한하는 요소"라고 지적했다.
교보증권 조주형 연구원은 "건설업종에 기여할 수 있으려면 실질적으로 주택거래가 늘어나서 가격이 올라가고 미분양이 해소가 돼야 한다"며 "금융규제가 풀어지지 않은 것이 좀 아쉽다. 방향성은 좋지만 단기적으로 주가에 큰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