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주요 현안들이 지난 10일 경북도 신청사 개청식에서 대통령 참석하면서 구체화 되고 있다. 당시 대통령은 경북도가 심혈을 기우리고 있는‘권역별 균형발전 전략’, ‘전통문화 보존과 문화융성’, ‘새마을운동 세계화’는 물론 ‘한반도 허리 경제권’ 육성에 이르기 까지 이례적으로 직접 언급하며 힘을 실어줬다.이에 따라 도는 1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를 빠르게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후속추진단을 구성해 5대 핵심과제에 대한 실행전략을 마련하고, 내년도 국비확보 등에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도는 김관용 지사가 민선 6기 공약으로 제시한 ‘한반도 허리 경제권’을 정부가 공식 인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다. 김관용 지사는 이날 기자간담회 자리에 직접 참석해 “대통령이 개청식 행사에 참석해 지역개발사업을 구체화한 것은 여느 방문에서도 볼 수 없는 특이한사항”이라면서 “대통령이 방문시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트를 비롯해 지역의 주요 현안에 대해 도움을 요청한 것이 받아들여진 것”이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그러면서 “권역별 사업을 구체화시켜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사업과 연결하도록 최선을 다 할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도는 조만간 대전·충북·충남·강원과 협의 채널을 가동하고,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경제산업, 문화관광, 광역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협력 사업을 발굴해 추진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특히, 도청신도시와 세종시를 잇는 107㎞에 달하는 고속도로는 내년도 국가예산에 반드시 반영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 사업은 2012년 충북·충남과 공동 추진키로 협약한 바 있으며, 현재 국토연구원에서 기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대통령이 조목조목 열거한 경북의 권역별 균형발전 전략에 대해서도 조만간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세부추진계획을 마련하고, 핵심적인 선도사업은 내년도 정부 예산을 요청키로 했다. 문화융성 사업 가운데 대선 공약인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은 발굴 인력을 늘리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문화재청 산하에 설치된 추진사업단도 확대해 나간다. 아울러 ‘2017호치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개최에 따른 국비확보에도 총력을 쏟는다. 그동안 경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왔던 ‘새마을운동 세계화’ 사업도 박차를 가한다. 도는 지방비로만 추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국비지원을 제도화해 달라는 주문을 내놨고, 정부도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무엇보다, 경북도가 줄기차게 주장해 온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가 큰 힘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정부도 이 사업은 경북만의 특화된 사업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지원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내년 ‘박정희 대통령 탄신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앞으로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중앙정부, 구미시 등과 협의를 거쳐 조만간 구체화할 방침이다. 안병윤 기획조정실장은 “대통령께서 제시한 전략들은 국정방향인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구체화하기 위한 실천계획”이라며 “추진 T/F팀을 구성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지역발전으로 연결시키는데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