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봄은 어김없이 찾아오지만 겨울 또한 쉽게 그 자리를 내어주려고 하지 않는다. 봄이 찾아오기 시작하는 이즈음 국경일인 3.1절과 더불어 자칫 잊히지 않을까 걱정되는 날이 또 하나 있으니 바로 천안함 피격 사건이 일어난 3월 26일이다. 2010년 3월 26일 서해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초계함인 천안함이 북한 잠수정의 기습적인 어뢰 공격을 받아 침몰하고, 승조원 104명 가운데 46명이 산화하였으며 천안함 수색 도중 한주호 준위가 순직한 사건이 있었다. 이들을 기억하기 위해 작년 5주기까지 중앙정부에서 추모행사를 주관하였지만 올해부터는 추모행사를 해군본부로 이관하고, 매년 3월 넷째 주 금요일을 ‘서해수호의 날’이라 하여 정부기념일로 새로이 제정하였다. 올해 3월 25일은 제1회 서해수호의 날이 되는 것이다. ‘서해수호의 날’은 제정은 천안함 피격 사건 뿐 아니라 6명의 전사자를 낸 2002년 6월 29일 제2연평해전,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의 목숨을 앗아간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 등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북한이 감행한 도발 사건들을 함께 다루어 북한의 도발에 맞서 고귀한 생명을 바친 호국영웅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온 국민과 함께 기리고, 나아가 6․25전쟁 이후 끊임없이 지속되는 북한의 도발을 상기하고 국가 안위의 소중함을 다져 국민 안보의식의 결집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북한은 연초부터 핵실험을 강행하더니 설 명절 연휴에는 인공위성을 가장한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로 한반도의 안보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연평해전이나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폭격 등의 도발을 감행한 것이 이미 오래 전 일이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된 사과는커녕 오히려 갈수록 더 강력한 수위의 도발을 자행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현재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는 우리나라를 수호하기 위한 고귀한 희생 위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우리 국민은 잊고 있는 것 같다. 남북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인 우리는 항상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고 온 국민이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나가겠다는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어야 하며 국난극복의 구심점이 되는 나라사랑의 힘을 평소 마음 깊이 새기고 살아야 하는 것이다. 준비된 국민은 어떠한 재난에도 훌륭하게 대처해나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여 정신적 무장을 항시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북한의 도발 사슬고리를 끊기 위해서 국방의 힘은 군인뿐만이 아니라 온 국민의 나라사랑의 힘으로 완성되는 것임을 평소 마음 깊이 새기고 살아야 할 것이다. 서해수호의 날인 3월 25일에는 우리 국민들이 국토방위 임무수행 중 고귀한 생명을 조국에 바친 용사들의 희생정신을 기리는 시간을 각자 가져볼 수 있도록 기대해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