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길호기자] 새누리당 서상기 국회의원(대구 북을)은 8일 국가사이버테러방지법(서상기 대표발의)의 신속 처리를 강력히 촉구했다. 서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이 지난 2월말부터 정부 주요인사 수십 명의 스마트폰을 공격해 통화내역과 문자메시지, 음성통화 내용까지 절취한 사실이 밝혀졌다. 조사결과 공격 받은 정부 인사의 스마트폰 중 20% 가까이가 악성코드를 통해 저장된 연락처까지 추가로 유출했다고 한다. 북한이 얼마나 많은 정보들을 절취했을지 확인조차 할 수 없는 것이 지금 우리가 처한 안보 상황이다”며 국가 안보망에 구멍이 뚫렸음을 경고했다.이어 서 의원은 “북한의 사이버테러 조직은 정부 주요인사 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까지도 공격하고 있다. 우리 국민 2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공인인증서 제작업체의 내부 전산망에 침투, 전산망을 장악했던 사실이 이미 지난 2월 밝혀진바 있다”면서 “정보보안 전문가들은 이번 공격은 지난 2013년 언론·금융사 전산망을 파괴해 8600억원의 경제적 피해를 입힌 `3.20 사이버테러’의 준비단계로 보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테러방지법은 3년이나 지난 아직까지도 국회에 잠들어 있다”고 전했다. 서 의원은 “핵 도발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현실화 되면서 김정은이 선택 가능한 대남도발은 전후방 동시타격이 가능한 사이버테러뿐이다. 오프라인에만 한정된 반쪽짜리 테러방지법으로는 북한의 대규모 사이버테러를 막을 수 없다"면서 "이것이 국가비상사태가 아니라면 무엇이란 말인가. 이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은 하루 속히 사이버테러방지법을 처리하는 것뿐이다. 만약 야당이 협조를 거부할 경우 정의화 의장은 국가비상사태 해소를 위한 직권상정에 나서야 된다”며 법안처리를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