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대구시는 지난달 안동․예천 신도시로 이전한 옛 경북도청(산격동)에 6월까지 시청별관을 이전하는 임시활용방안을 확정하고, 1일부터 옛 경북도청 이전터를 인수해 직접 관리하면서 이전준비에 들어갔다.옛 경북도청으로 옮겨갈 부서는 경제부시장 집무실 이전과 함께 창조경제본부, 미래산업추진본부, 녹색환경국 등 경제부서와 건설교통국, 도시재창조국, 감사관, 공무원교육원 등 2본부 4국 1원이며, 근무인원은 739명이다.이외 도교육청사에는 글로벌헬스케어센터, 스마트드론기술센터, 3D프린터종합지원센터 등 국책사업 관련 연구기관이 배치된다.이와 관련해 대구시는 경북도 및 도교육청과 지난 1월 14일 부지 및 건물 무상사용계약(5년간, 연장가능)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우선적으로 청사경비, 청소, 시설관리 등 3개 분야는 민간전문기관에 위탁해 1일부터 1일 36명(경비 12, 청소 10, 시설관리 14)을 현장에 투입하고 있다.이전준비를 위해 3월부터 5월까지 시설물 안전점검과 사무실 정비공사를 마무리 한 후 6월까지 경제부서 등을 이전하고, 8월까지 공무원교육원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대구시는 시 본청 직원 46%가 동화빌딩, 호수빌딩 등 여러 임차 건물에 흩어져 근무하고 있는데, 이들 별관을 통합·이전하면 소통과 협업을 통해 업무의 효율화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 있다.또한, 시청별관에 경제부시장이 상주하고, 본부 및 국 단위로 이전하므로 책임행정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는 입장이다.경북도청 이전부지의 개발 전까지 도청 주변지역 도시기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공유재산법상 무상사용이 가능한 시청별관 이전이 불가피한 면도 있다.특히, 공무원교육원의 경우 교육인원이 연간 1만2천명으로 지역상권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권영진 시장은 “시청별관 이전에 따른 민원인과 직원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셔틀버스 운행, 화상회의 일상화, 원스톱민원처리 등 지원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며 “올 해 안에 도청이전특별법 개정과 연계해 대구시가 주도할 수 있는 장기 활용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