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가 28일 4·13 총선 선거구를 획정하자 경북지역 일부 시민단체 등이 "형평성에 맞지 않다"며 유감의 뜻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줄어든 의석수만큼 비례대표를 통해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경북 등 선거구가 줄어든 지역을 대상으로 그 지역 출신의 비례대표를 안정적 순번에 부여하게 되면 지역적 안배는 물론 수도권위주의 정치행태에서 그나마 벗어 날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할 수 있다는 것.28일 선거구획정위는 20대 총선 지역구 의석 수를 253석으로 7석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수를 47석으로 하는 선거구 획정 안을 확정했다. 전체적으로 총선 지역구는 서울 1곳·경기 8곳·인천 1곳 등 수도권에서 무려 10곳이 늘어나고 대전과 충남에서도 각각 1곳씩 증가했다. 반면 강원 1곳, 전북 1곳, 전남 1곳, 경북 2곳 등 5곳이 줄어들어 전체적으로는 7개의 지역구가 증가하게 된 것. 영·호남에서 각각 2석씩 줄어든 것은 여야의 `정치적 텃밭`임을 감안해 균형을 맞춘 것으로 해석된다.그러나 이번 선거구획정 관련, 경북지역 일부 단체와 국회의원들은 최종 확정되기전부터 형평성 등에 강한 유감을 표명해 왔다.중앙선관위 관악청사 앞에서 침묵 피켓 시위를 이어온 안동·예천통합추진위 관계자는 "선거구 획정은 행정의 효율성을 보고 결정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아쉬워했다.경북지역정가 관계자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것을 인구편차에만 너무 급급해 한 것 같다”며“수도권과 달리 지방에 대한 지역적 안배 등을 고려했어야 하는데 이를 간과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이번 획정으로 선거구가 줄어든 경북과 강원, 전북, 전남지역에 비례대표를 통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경상매일신문=김달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