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을 50여 일도 남겨놓지 않은 상황에서 공천 작업이 본격적으로 돌입하면서 여야가 폭풍전야에 빠져들고 있다. 현역 의원의 공천 심사를 원천 배제하는 `컷오프`와 현역 의원 배제를 염두에 둔 `우선추천제`가 여야에서 핵심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가 `현미경 심사`를 예고하며 서류심사를 시작으로 4·13 총선 공천신청자들에 대한 본격 심사에 착수해 그 결과가 주목된다.822명에 달하는 공천신청자의 프로필을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살인미수 전과 경력자처럼 논란의 여지 없이 부적격한 인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냈고 서울·수도권 지역부터 면접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과거에는 주로 여론조사 결과인 `숫자`로 공천신청자를 평가했다면 이번에는 면접조사·언론보도·투서 등 다양한 경로로 자료를 모아 공천신청자의 적격성에 `다중 돋보기`를 들이대겠다는 뜻이다.새누리당의 텃밭인 대구·경북(TK) 의원들이 소위 ‘진박’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대구 동쪽의 중진 의원들은 친이, 친박계를 가리지 않고 모두 흔들리는 상황이다. 상대적으로 잠잠하던 경북 역시 현역 의원들이 ‘물갈이론’ 앞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 19대 총선에서 12명 의원 중 절반이 넘는 7명이나 교체된 대구에 비해 경북은 15명 중 4명이 교체되는 데 그쳐 상대적으로 ‘물갈이’ 여론이 더 거센 탓으로 분석된다.‘공천=당선’인 TK 지역은 공천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지역에 잠재된 물갈이 여론을 현역 의원들이 어떻게 잠재울지가 관건이다. 더불어민주당이 현역의원 물갈이를 위해 내놓은 ‘3선이상 50%, 재선이하 30% 정밀심사’ 방안에 당이 크게 술렁이고 있는 가운데 23일 ‘하위 20% 컷오프’ 대상 현역의원 명단이 확정되 개별 통보했다. 공천관리위원회가 현역 의원 하위 20%를 컷오프 하기로 한 데 이어 정밀심사로 추가 탈락자를 가리기로 해 현역 `물갈이`의 칼을 빼 든 모양새다. 그러나 꼼꼼히 따져보면 과연 물갈이가 현실화될지 의문이 드는 구석이 있다.무엇보다 이미 탈당이나 불출마 선언을 한 의원까지 심사 대상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대안 후보가 마땅치 않은 단수후보 지역구가 많다는 점으로 볼 때 `물갈이`가 아닌 `물 베기`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국민의당 역시 폭풍전야다. 현역들과 정치신인들의 다툼으로 번지고 있는 모습이 역력하다. 전면전으로 갈 것인지는 두고 봐야 할 문제이지만 이제 공천을 놓고 갈등이 시작됐다. 광주 지역 현역들이 `기득권 포기`와 `경선 결과 승복`을 하겠다는 기자회견을 했지만 실상 이 기자회견은 인위적인 현역 물갈이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여야를 막론하고 문제는 현역 의원의 공천 심사를 원천 배제하는 `컷오프`와 현역 의원 배제를 염두에 둔 `우선추천제` 전략의 성과가 핵심 현안이 아닐까? 근데 공천 룰은 정상일까? 논란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