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신선 농산물 수출확대에 총력을 쏟고 있다. 신선 농산물은 지역 농식품 수출액의 2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다. 23이 경북도에 따르면 지역 농가의 내수안정과 소득 증대 기여를 위해 신선농산물 전문수출단지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도는 민선 6기 최대 역점시책으로 농식품 100대 선도 기업을 선정해 수출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집중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 수출진흥기금 조례를 제정하는 등 농업인 스스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농식품 수출에 대해 강력한 수출정책을 추진해 왔다.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내 신선농산물은 내수 가격상승 및 일본 엔화 약세 등 국내외 수출환경 악화로 수출이 다소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도는 신선농산물 수출을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해 ‘경북 신선농산물 시범수출단지’ 조성에 두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이를 위해 도는 안동, 고령에 예비수출단지 2개소(6ha)를 지정하고 각 3억 원씩 생산기반시설 현대화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업기술원에서도 대외경쟁력이 높은 해외 수출전략형 딸기 품종인 ‘싼타’, ‘레드벨’ 등 해외시장 개척에 적합한 신품종을 육성·보급하는 등 수출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향후 신선농산물 수출전문단지는 생산단계에서 수출까지 패키지 지원을 통해 작지만 성장가능성 있는 단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신선농산물 수출전문단지에서는 전략품목 발굴, 수출업체 및 해외 바이어 관리, 기업과 바이어·생산자 단체를 직접 연결하는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아울러 농수산물유통공사(aT)·코트라·경북통상 등 수출 전문기관과 ‘對중국·동남아 시장 개척 사업단’을 구성해 상시적 협조체계를 강화하고 중국 무역사절단 파견, 캐나다 등에 상설판매장 설치 등을 통해 해외시장 개척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신기훈 FTA농식품유통대책단장은 “한중FTA체결로 지리적 접근성, 생산품목 및 기후조건 유사성 등으로 농업인들의 심리적 피해와 불안감 가중으로 무한경쟁 시대에는 수출만이 살길이라는 각오로 공격적인 수출 마케팅을 위해 행·재정적 시스템 구축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