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북 제재와 압박수단으로 개성공단 전면중단과 더불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도입을 검토 중이다. 사드 한반도 배치지역 후보지인 강원도 원주와 경기도 평택, 대구 경북 칠곡, 부산 기장 등에서 님비(Not In My Backyard ; NIMBY)현상이 불거지는 등 사드배치지역을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정작 중국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는데 있다. 중국 정부가 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 계획 철회를 공식 요구하는 등 갈수록 수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종전까지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공론화 이후 불만을 표시해 왔으나 아예 계획 철회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중국은 자신들의 안보를 우려한다는 명목으로 최근 한반도에 사드가 배치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정작 그간 한반도 전역을 탐지할 수 있는 초대형 레이더를 설치하고 운용해 온 것으로 드러나 ‘아전인수(我田引水)’ 격 외교 행위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게다가 중국 레이더는 우리가 계획 중인 사드 레이더보다도 탐지거리가 5500km에 달해 1500㎞ 거리인 한반도 전역은 물론 멀게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목표물까지 이 레이더의 감시권에 들어온다.언론과 새누리당 일부 국회의원들이 중국이 한중FTA도 체결했으니 외교문제가 경제보복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 했지만 중국의 관영신문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한국의 사드배치에 대해 신랄하게 경고했다. 심지어는 전쟁을 운운할 정도였으니, 중국이 사드배치에 대해 얼마나 심각하게 여기는 지 알 수 있다. 중국이 당장 고강도 경제보복을 취하지는 않겠지만, 중단기적으로 비경제적ㆍ비관세장벽을 활용한 경제제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는 게 재계 판단이다. 과연 우리나라가 중국이 경제를 고리로 ’몽니‘를 부릴 경우, 견뎌낼 수 있느냐다. 실제 한국은 지난 2000년 중국과의 ‘마늘분쟁’으로 경제보복의 쓴맛을 본 적이 있다. 경기 불황에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그렇잖아도 먹히지 않는 정부의 경제활성화 정책에도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외교 당국은 사드의 실체를 중국 측에 성의껏 설명해야 한다. 그럼에도 중국이 보복에 나선다면 우리는 감내할 각오를 다져야 한다. 북핵과 미사일은 대한민국의 존망(存亡)이 걸린 문제로 경제적 득실에 따라 결정할 사안이 결코 아니다. 이로 인해 닥쳐올 시련은 우리 기업들이 신시장 개척을 통해 극복할 수밖에 없다. 야당도 중국에 장단을 맞추듯 사드 배치에 반대하며 내부 갈등을 조장하고 국론을 분열시키려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 중국이 한국의 방어적 미사일 요격 시스템 구축에 반발하는 것은 우리에게 맨손으로 북의 핵무기와 싸우라는 요구나 마찬가지다. 중국은 자신도 할 수 없는 일을 한국에 요구해선 안 된다. 우리 정부의 현명한 대응이 참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