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획정 기준이 여야 합의로 선거구 획정위원회에 넘겨진 가운데 대구는 12석으로 변함이 없으나 경북은 13석으로 2석이 줄어들었다. 2석이 줄어든 경북은 영주시, 영천시, 상주시, 문경시ㆍ예천군, 군위군ㆍ의성군ㆍ청송군 등 5개 지역구가 검토되고 있다. 영천시의 경우 인구 4만명 가량의 청도군과 인접해 있어 지역구 생존가능성이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나머지 4개의 지역구에서 2석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어서 연접한 지역구로 본다면 상주시와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이 합쳐지고 문경시 예천군과 영주시가 합쳐지는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경우의 수가 만하 최종적으로는 획정위원회 논의가 끝나봐야 사실상 윤곽을 알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정의화 국회의장은 23일 여야 대표와 합의한 선거구 획정기준을 선거구 획정위원회로 송부했다.정 의장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함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기준 합의서에 서명하고, 선거구획정위원회에 2월 25일까지 선거구 획정안을 마련하여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선거구 획정안은 오는 2월 26일 본회의에서 처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정 의장과 여야가 합의한 선거구 획정기준은 지역구 국회의원 253석과 비례대표 47석, 인구기준일 2015년 10월 31일, 하나의 국회의원 지역구 인구수는 14만 명 이상 28만 명 이하로 했다. 자치구‧시‧군의 일부 분할은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아니하되, 인구 하한에 미달하여 인접 자치구‧시‧군과 합하여야 하는 지역구로서 어느 자치구‧시‧군과 합하더라도 인구 상한을 초과하여 일부 분할이 불가피한 경우에만 예외를 인정했다. 시‧도별 의원 정수는 서울(49석), 인천(13석), 대전(7석), 충남(11석)이 각각 1석씩 증가했고, 강원(8석), 전북(10석), 전남(10석)은 각각 1석씩 줄어들었다. 경기는 60석으로 8석이 증가했고, 경북은 13석으로 2석이 줄어들었다.반면 부산(18석), 대구(12석), 광주(8석), 울산(6석), 충북(8석), 경남(16석), 제주(3석), 세종특별자치시(1석) 등으로 변화가 없다. [경상매일신문=류길호,신동선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