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경제정의실천연합(이하 포항경실련)은 21일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 보경사 입구에서 포항시민산행대회를 갖고 문화재관람료 징수는 부당하다며 즉각적인 폐지를 주장했다. 이날 포항경실련이 주최한 포항시민산행대회에는 경실련 회원을 비롯한 시민 100여 명이 참여, “스님 하심(下心)하십시요, 부당한 문화재 관람료를 폐지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보경사 측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번 포항경실련의 보경사 문화재 관람료 폐지 운동은 포항시와 포항시의회가 올해 보경사 문화재 보수비로 11억2천500만 원의 예산이 편성했지만 이에 앞서 예산지급의 전제조건인 문화재 관람료 폐지 약속을 보경사 측이 이행하지 않은데서 비롯됐다. 더욱이 예산심의 과정에서 포항시의원들이 보경사측으로부터 도자기 세트 등의 선물을 받았는다는 논란과 함께 삭감됐던 예산이 예결위에서 부활하며 문화재와 상관없는 승려들의 수양공간인 ‘원응료’ 개축비로 6억 원이 배정되면서 비난을 키웠다.또 지난 1월 보경사 측이 문화재 관람료를 기습인상했다가 포항경실련을 비롯한 사회단체와 시민들의 반발로 인해 여론이 좋지 않자, 포항시의 중재로 이를 원상복귀하는 등 안하무인 격의 운영-을 보인데서 보경사 측을 향한 비난여론이 확산됐다. 포항경실련 정휘 집행위원장은 “오늘 보경사 측의 부당한 문화재 관람료 폐지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모였다”며 “오늘 산행대회를 시발점으로 행정소송 등을 통해 보경사 측이 근거없이 부당하게 징수하고 있는 문화재 관람료 폐지를 위해 전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시민 A모(47, 해도동) 씨는 “산행을 위해 내연산을 찾는데도 보경사 측이 길목을 가로막고 문화재 관람료라는 명목으로 입장료를 징수하는 것은 부당한 것이 맞다”며 “문화재 관람과 산행은 엄연히 구분돼야 하는데 일괄적인 입장료 징수는 내 땅의 통행료를 내라는 날강도 같은 행태”라고 강력 비난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