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50년 동안 위민행정을 펼친 대구 산격동 청사 시대를 마감하고 22일부터 경북도민의 품속에서 ‘웅비 경북’ 도정을 이어간다. 경상북도라는 이름이 붙은 지 120년 만이다. 그동안 수많은 역사의 질곡에서도 한 뿌리, 한 형제애로 흔들리지 않고 근대화, 산업화의 나라발전을 이끌어 온 대구와 경북이 더 큰 그림을 그리기에 나선 것이다. 이를 위한 ‘경북도청 이전 환송행사’가 18일 오후 3시 도청강당에서 열렸다. 같은 공간에서 상생․협력으로 함께 만들어온 많은 역사를 접고 더 큰 상생의 틀을 준비하고 다짐하는 의미 있는 행사다.행사에서는 김관용 지사, 권영진 대구시장, 장대진 도의장, 이동희 대구시의회 의장, 북구 산격동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특히, 전직 시장 및 도지사, 전직 시도의장이 함께 해 의미를 더했다.이날 행사는 ‘응답하라 1966년 도정50년’ 영상 상영을 시작으로 막을 올렸다. 이어 도정발전에 기여한 공로자에 대한 감사패 증정, 떠나는 마음을 담아 경북도지사와 도의장의 인사말, 보내는 정을 담아 대구시장과 대구시의장의 인사말, 도립교향악단의 연주가 펼쳐졌다. 26년간 경북도공직자와 함께 하면서 동고동락해온 구두미화원 김동옥(65) 씨는 감사패를 받고 “설마 했는데 막상 떠난다고 하니 너무 아쉽고, 정이 많이 들었는데...”라며 소회를 전했다.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김관용 도지사를 비롯한 실국장 등 도 간부공무원 30여 명은 도정 앞마당으로 자리를 옮겨 그동안 함께 했던 감사의 마음을 담아 대구시민과 산격청사에 큰 절을 올렸다.이에 행사에 참석한 대구시민과 산격 주민들은 헤어짐을 아쉬워하고 더 큰 웅도경북과 행복한 경북도민을 만들어 달라는 의미에서 오색가래떡을 제공하면서 화답했다. 김선애 새마을부녀회장은 “오색가래떡은 산격동에서의 50년을 의미하는 오색(五色)의 情과 장수와 성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구·경북의 상생협력의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말했다.김관용 지사는 떠나는 마음을 통해 “대구와 경북은 태생적, 정서적으로 한 뿌리이고 한 가족으로 그 동안 상생협력으로 많은 동반성장을 이뤘다”며“몸은 떨어지지만 시도민의 마음은 하나다. 앞으로 더 큰 대구경북을 만들어 나가자”고 말했다.그러면서 “그동안 함께 해 준 대구시민에게 감사드린다”면서 “특히 도청이 근처에 있어 많은 불편을 참아준 산격동 주민들의 고마운 마음 잊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경북도는 12일 도민안전실 등 6개 실국의 이사를 시작으로 오는 20일 자치행정국 이사를 마지막으로 청사 이전을 모두 마무리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