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지원장 윤영렬, 이하 “농관원”)은 지난해 말 대구․경북 지역 GAP인증 농가는 2,278호 24%, 면적은 2,450ha 28%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GAP인증 농가는‘2014년 9,433호 에서‘2015년 11,711(2,278, 24%), 면적은 ‘2014년 8,856ha 에서‘2015년 11,306(2,450, 28%) 증가 했다. 농관원은‘2016년 1월 1일 저농약 인증 폐지에 따라 농업인들은 저농약인증을 대체하는 민간주체의 인증제가 도입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GAP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을 때 찾아가는 현장 밀착형 컨설팅과 교육 실시로 실질적인 인증 증가에 기여했다. 지난해 저농약 인증농가 4,311호 전체에 GAP인증 안내 공한문을 2회 발송 하였고, 친환경농업인 및 생산자단체 등을 대상으로 적극 적인 교육을 실시한 결과 1,596호(37.0%)가 GAP인증으로 전환 되는 성과를 도출했다. 또 GAP인증 확산을 위해󰡐2015년도 농업인․소비자․유통업자 교육은 161회 19,852명, 컨설팅은 57회 940명 추진하고, GAP 임시 컨설팅팀(25명) 운영으로 GAP인증 확대를 유도하고, GAP시설 지정 희망업체 24개소에 대한 시설 지정 기준 컨설팅을 실시했다. 또한, GAP인증 농산물의 소비가치 확산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GAP 홍보, 전시 등을 추진했다. 제3회 도시농업박람회, 대구도시철도 신남역 국가인증품 홍보행사(40만여명) 뿐만 아니라 대구·경북 학교 영양사(650명) 및 조리사(120명) 등을 대상으로 홍보를 대대적으로 전개하였고, GAP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금상󰡑을 수상한 농장을 도시소비자 체험단의 팸투어 장소로 활용하여 도농간의 교류를 통한 GAP인증 농산물을 적극 홍보했고 밝혔다. 금년도는 저농약인증 폐지에 따른 GAP인증 확산에 전력을 기울여 대형유통업체나 학교급식 등에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처리된 GAP 농산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GAP인증 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한 각종 전시회, 농장방문 체험행사, 소비자대상 교육, 언론매체 등을 통한 홍보 등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저농약인증의 고품질 과실류, 벼 등 시․군별 주산지 품목 중심으로 GAP인증 현장컨설팅, 교육 및 홍보 등을 통하여 관내 우수한 농산물이 안전한 GAP인증 농산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농관원 윤영렬 지원장은“GAP인증 농산물의 확산을 위해 수요자 밀착형 컨설팅 및 교육을 차별화 된 GAP 소비자 홍보 및 GAP인증 농산물 전시회를 통해 GAP인증 확산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향후 시․군별 지역특화 품목 선정․육성을 통한 GAP인증 기반 확충과 더불어 소비자들로부터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처리된 깨끗한 GAP 농산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민간인증 기관과 농가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