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5일 오전 김관용 도지사 주재로 실·국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격청사에서의 마지막 간부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는 한창 진행 중인 이사 상황을 고려해 노트와 메모지가 없는 티타임 형식으로 열렸다. 그러나 분위기는 자연스럽게 대구시대를 마감하는 소회와 신도청시대를 여는 기대감으로 가득 찼다.김 지사는 “산격동 반세기, 포정동 시대 70년, 경상도로 보면 700년이라는 엄청난 세월을 안고 이전을 하는 것”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도청이 산격동으로 온 1966년에 국민소득이 131 달러에 불과했다. 그런 우리가 지금 3만 달러 시대를 바라보고 있다”면서 “그 과정에 우리 경북이 포스코, 구미전자공단, 새마을운동, 산림녹화로 근대화의 산실 역할을 다했다”고 회고했다. 이어 “75년에 경북 인구가 486만이었다. 400만이던 경기도보다 컸다. ‘막강 경북’이라는 말이 그때 나왔다”면서 “경북을 함께 지켜준 대구시민들에게 감사드린다”며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김 지사는 도청 이전 결정과정의 어려움도 밝혔다. 그는 “주변에서 모두가 하지 마라 말렸고 말려 정치적 부담도 컸다. 그렇지만 도청은 도민의 품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일관된 생각으로 밀어붙였다”며 추진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음을 토로하면서 “시군에도 이사 과정을 상세히 알리고 도민들께도 이사와 관련한 내용이 잘 전달되도록 조치해 도청이전을 대화합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직원들에 대한 당부도 빠뜨리지 않았다. 김 지사는 “직원들을 고생시켜서 미안하다”면서 “세인의 관심이 집중돼 있는 만큼 한 달 동안 바짝 긴장해서 집중할 것”을 당부했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 12일부터 20일까지 업무공백 최소화를 위해 휴일도 반납한 채 이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