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남북관계는 서민들에게 더 힘든 인내를 요구한다. 바닥을 칠 것이라는 경제지표는 더 밑으로 내려가고 있다. 서민들에게 한숨은 필수품이 된지 오래이다. 이런 가운데 연초부터 생필품의 가격인상 움직임은 서민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작년 말 소주 가격이 5-6% 인상된 데 이어 햄버거, 핫도그, 두부, 달걀, 등의 가격이 잇달아 오르고 있다. 대부분 서민들이 즐겨 찾는 먹을거리임을 감안하면 부담은 두배다. 업체들은 인상을 최소화 한다고 한다. 그러나 서민들은 인상 자체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맥주나 라면 등 다른 음식료품도 인상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끊이지 않고 있어 서민들의 부담은 더욱 커져만 간다.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0.7%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와는 차이가 있는 통계청 자료이지만 올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상승률 역시 0.8%로 ‘저물가’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이런 수치만을 놓고 보면 저물가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업체의 최소 인상폭 역시 소비자들과는 일정 거리가 있다. 소주의 경우 제조업체가 올린 가격은 병당 60원 안팎에 불과하지만 이를 빌미로 식당이나 술집에서는 병당 500원 넘게 올려 받는 경우가 흔한 것이 현실이다. 물론 서민들의 경제적 상황을 감안해 현재의 가격을 유지하는 술집이 없는 것도 아니다. 모두다 올리지 않으면 모르겠지만 일부식당에서 가격을 올려 받다보면 이는 다른 식음료 제품의 가격 인상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난해 6월 수도권의 버스. 지하철 요금이 오르자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의 교통요금이 잇따라 인상된 것은 이를 반영해주고 있다. 한두 개 품목의 물가가 이렇게 오르면 나머지 제품마저 연쇄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물가의 특성이다. 가계 소득은 늘지 않고 되레 빚만 늘어가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마당에 식음료 제품이나 공공 서비스 요금마저 오른다면 서민 생활은 더욱 팍팍해질 수밖에 없다. 당국은 저물가 상황임에도 일부 제품의 가격이 잇따라 뛰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 면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물가를 더욱 안정시켜 서민들의 심리적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 정부가 담당해야할 책임이자 의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