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노인인구가 20년 후에는 두 배 가까이 증가된다는 분석이 나왔다.이에 따른 부양 인구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경북도는 ‘시·군별 장래인구 추계’결과가 수록된‘경상북도 통계웹진’ 제3호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경상북도 통계웹진’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통계정보 제공과 지역통계에 대한 체계적 정보 제공 및 통계 이용자 저변확대를 위해 계간으로 발간하는 인터넷 잡지다.웹진은 2013~2033년까지 약 20년간 도내 23개 시·군별로 인구성장율, 경제활동가능인구, 노인인구비율, 평균연령, 부양비 등 주요 인구지표에 대해 지도와 그래프를 활용해 도내 장래 인구의 변화를 분석했다.‘시·군별 장래인구추계’는 출생율, 사망률, 인구이동 등 최근의 인구변동 추세를 감안해 미래인구를 추정하는 통계다.웹진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33년 도내총인구는 265만1천 명으로 20년간 연평균 0.02%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시·군별로는 청도군, 성주군, 경산시, 칠곡군, 군위군 등 대구시 인근 시·군과 문경시, 봉화군 등 경북 북부지역의 인구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의성군, 경주시, 영주시 등 12개 시·군은 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활동가능인구(15~64세인구)는 2033년 14만8,000명으로 매년 1%씩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인구성장율과 유사하게 대구 인근 시·군과 구미시, 칠곡군은 연평균 인구감소율이 낮은 반면 의성군, 예천군, 영덕군 등은 연평균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도 전체 노인인구(65세이상 인구)는 연평균 3.4% 증가해 2033년에는 89만9천 명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도 전체 노인인구비율도 2033년 33.9%로 2013년 17.5%에 비해 2배 증가하는 것으로 추계됐다.시·군별로 의성군, 군위군, 청도군, 영덕군은 2033년 노인인구비율이 전체인구의 절반이상을 상회하고 있는데 반해 구미시, 칠곡군, 포항시는 노인인구비율은 30% 이하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평균연령은 2013년 42.2세에서 2033년 51.1세로 20년간 8.9세 증가하게 된다. 시·군별로 평균연령이 높은 상위 3개 지역은 의성군, 청도군, 군위군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시군은 구미시, 칠곡군, 포항시 순을 보였다.경제활동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할 유소년인구와 노인인구를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는 2033년 도 전체 79.3명으로 2013년 45명에 비해 34.3명이 늘어난다. 시·군별로 부양비가 높은 곳은 의성군, 예천군, 영덕군이고 낮은 곳은 구미시, 칠곡군, 울릉군이다.안병윤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시?군별 장래인구추계가 도청 이전에 따른 인구변동요인을 감안하지 않은 현재까지 인구추세만이 반영된 결과이지만 장래 지역 인구변화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도 뿐만 아니라 시·군에서도 지역별 개발계획수립에 많이 활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한편, 이번에 발표된 ‘경상북도 통계웹진’ 제3호는 도 통계홈페이지(https://stat.gb.go.kr)에 게재하고 e-book형태로도 게시된다.[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