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 경주지역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약 90%가 1급 발암물질인 석면자재를 사용한 건물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전국 평균에 비해 약 20%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새누리당 정수성 의원(경주, 윤리특별위원장)은 KBS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지난 20일 공개한 ‘석면지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밝혔다.경주지역 148개(특수학교 1개 제외) 유치원과 초·중·고교 가운데 약 89.5%인 131개 학교가 1급 발암물질인 석면자재를 사용한 건물인 것으로 나타났다.학교별로 살펴보면 유치원은 62개 중 49개(79%), 초등학교는 46개 중 44개(95.7%), 중학교는 20개 중 18개(90%)로 나타났으며 20개의 고등학교는 20개 학교 모두(100%) 석면자재를 사용했다.경주지역 석면사용 학교비율은 전국과 비교해서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주지역 평균은 전국 평균 69.3%와 비교해 20.2%가 높았으며, 학교별로는 유치원 28%, 초등학교 11.8%, 중학교 7.4%, 고등학교는 17.4% 각각 높게 나타났다.이번 분석은 KBS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정보공개 청구 등을 통해 얻어 공개한 ‘석면지도’를 경주지역에 한정해 실시한 결과이다.이에 대해 정 의원은 “대한민국의 미래인 학생들의 건강에 관해서는 예산과 정쟁이 이유가 될 수 없다”며 “반드시 경주 지역에 있는 학교를 석면 없는 학교로 만들어 학생들이 맘 놓고 뛰어놀 수 있는 건강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