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노재현기자] 경북도는 1일부터 경북도, 시군(23개), 출자·출연기관(31개)이 함께 사용하는 ‘경북e음 업무시스템’을 시범운영한다. ‘경북도의 모든 업무와 사람을 시스템으로 잇다’라는 의미를 가진 ‘경북e음 시스템’은 기관 간 공동 사용하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지자체 업무시스템이다. 시스템은 2월 시범운영 거친 후 3월부터 안동 신청사에서 정상가동할 계획이다.기존에 각 기관별로 사용 중인 업무시스템을 연계하거나 신규로 구축한 행정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간 문서유통, 기관간 업무정보 공유 등 업무편의성, 효율성으로 신도청 시대 개막과 더불어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기대된다.이에 따라 과거 외부 출자출연기관과 기관방문, 이메일, 우편 등으로 이뤄진 공문서전달 방식에서 탈피해 앞으로는 인터넷(경북e음 외부)으로 문서유통을 양방향 처리할 수 있게 됐다.이에 따라 문서유통뿐만 아니라 도정정책, 기관 소식 등 업무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신속한 업무연락을 위해 모바일(조회)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업무수행이 신속·간편해 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경북e음은 22개 출자출연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 기간별로 연간 5천~6천 건의 문서유통이 이뤄질 전망이다. 한편, 경북도는 신도청 시대를 앞두고 2013년도부터 도정업무량을 줄이고 업무효율은 높이는 업무시스템을 단계별로 구축하고 있다. 2014년에는 주요업무 진행상황 관리(도정과제), 모바일행정 서비스(자료공유, 보고, 결재), 복잡 다양한 업무시스템을 손쉽게 한곳에서 통합검색 되는 경북e음(디지털의사소통)을 구현했다. 이어 작년 하반기에 출자출연기관, 시군이 사용하는 신규 시스템을 개발해‘경북e음 시리즈’를 구축․운영하게 됐다.올 상반기에는 시스템 품질을 높이는 시스템 안정화에 주력하고 하반기에는 경북e음 문서유통을 원하는 법인․단체로 확대 운영계획이다.도는 향후 민간기업, 도민까지 사용하도록 행정자치부(업무관리, 정부유통시스템 개발․보급)에 건의해 문서유통을 개방하는 등 도민에게 다가가는 밀착 행정을 펼칠 방침이다. 김중권 자치행정국장은 “경북e음시스템은 안동․예천 신도청 시대를 맞아 스마트 행정을 구현함으로써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며 더욱 내실 있는 도정추진으로 도민 맞춤 서비스 지원에 한층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