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7년부터 시행되는 ‘전국통합자전거등록제도’의 실효성에 대해 자전거 이용자들 사이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지난달 19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내년 초부터 ‘전국통합자전거등록제도’가 시행된다.이 제도는 소유자가 지방자치단체에 자전거를 등록하고 고유 번호를 부여받으면 QR코드 등 식별장치를 부착해 지자체, 경찰서 등에서 등록정보를 공유 및 관리함으로써 자전거 도난을 방지하는 제도다.‘자전거 등록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전국 범위로 관리하기 때문에 전국 어디에서나 확인이 가능해 자전거 도난 및 분실을 방지하고 회수해 주인에게 돌려주는 것도 한층 수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포항시의 경우 하반기쯤 자전거 등록제도가 구체화 돼 공문이 내려오면 검토 및 보완을 통해 시행할 계획이다.하지만 일각에선 자전거 등록제도의 허점을 지적하며 이 제도의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자전거는 부품 분해가 쉬워 등록된 자전거라도 훔쳐간 뒤 분해해서 부품을 팔거나 식별장치를 훼손시키면 그만이라는 것.또 의무제도가 아니므로 자전거 등록률이 저조할 경우 예산과 인력만 낭비하는 등 의미 없는 제도로 전락할 가능성도 높다는 지적도 있다.게다가 자전거 미등록, 폐기, 도난 및 분실 등으로 실제 자전거 보유대수와 시스템에 등록된 자전거 보유대수가 다를 경우 관리에 있어 혼란이 빚어질 것이란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시민 서모(여‧27)씨는 “자물쇠를 채워놔도 바퀴만 남기고 훔쳐 가는데 등록된 자전거라고 안 훔쳐가겠느냐”며 “차라리 절도범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거나 더 안전한 자전거 보관소를 만드는 게 나을 것 같다”고 의견을 밝혔다.포항시자전거연합회 관계자는 “자전거등록제도 자체는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하지만 허점이 얼마나 잘 보완될 지가 관건”이라며 “제도가 실시되더라도 자전거를 눈에 잘 띄는 곳에 주차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포항시 관계자는 “작년에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타 지역의 등록 및 운영 방식을 조사해본 적이 있다”며 “지역별로 각자 방식이 달라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으나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유용한 제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도난 방지 등의 효과 외에도 등록자에 한해 포항시 자전거 이용자 수, 보유율 등도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경상매일신문=김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