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강동진기자]   지난해 12월 경북 동해안지역 수출입액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무역수지는 흑자를 기록했다.  최근 포항세관(세관장 주재화)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경북 동해안지역 수출입 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수출은 5억5천5백만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35.0% 감소했으며, 수입은 4억3천3백만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32.7% 감소했다. 또 12월 무역수지는 1억 2천2백만 달러 흑자였다. 포항관세청의 업무 행정구역은 포항, 경주, 영덕, 울진, 울릉 등 경북 동해안 기초자치단체다. 수출은 국제 유가 하락, 글로벌 설비과잉에 따른 국제 철강 가격 약세, 엔저 지속, 중국의 저성장에 따른 철강 수요 감소 등의 부정적 여건이 지속돼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입도 내수부진,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유입으로 인한 수입단가 하락, 철강 원자재 수입단가 하락, 지역 철강업체의 사업 조정 등의 영향으로 감소세다. 하지만 무역수지는 지난해 2월 이후 11개월째 흑자를 지속했다.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을 보면, 전체 수출액의 83.6%를 차지하고 있는 철강제품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37.3%나 줄었다.  지역별로는 미국(Δ69.6%), 유럽(Δ24.0%), 동남아(Δ20.7%), 중국(Δ16.3%) 등 대부분 지역이 감소했으며중국의 저성장, 미국 셰일가스 업계의 유정용 강관 수요 감소, 러시아로의 DKD(완성차를 일부 분해하여 부품형태 수출) 차량 수출 감소 등 부정적인 글로벌 여건의 영향으로 보인다. 주요 품목별 수입실적을 보면, 전체 수입의 47.5%를 차지하는 철광석, 유연탄 등 광산물 수입은 원자재 가격하락의 영향으로 감소세(Δ56.9%)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철강금속제품(전체수입의 42.1%) 수입 또한 전년동월대비 30.8%나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남미(Δ95.7%), 호주(Δ41.6%)로부터의 유연탄, 철광석 수입 감소와 일본(Δ40.1%), 유럽(Δ20.3%), 중국(Δ12.0%)으로부터 철강판, 고철 등 철강제품의 수입 감소로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수입이 감소했다.한편 2015년 12월까지 수출 누계액은 74억5천3백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103억3천5백만달러) 27.9% 감소했으며, 2015년 12월까지 수입 누계액은 62억1천6백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9,902백만달러) 37.2% 줄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