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 이상직 대구 중구·남구 국회의원 새누리당 예비후보는 최근 중구·남구에 예비후보자들이 난립하고 후보자간 비방이 이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자칭 친박, 진박 후보가 넘치고 있다. 이들의 정책은 무엇인가? 친박, 진박이 정책인가? 이제는 주민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내놓는 사람이 새누리당 후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대구의 현직(제19대) 국회의원들의 대다수는 친박이라고 자청하고 당선됐다. 그런데 지금 또 예비후보자 간 스스로를 친박, 진박이라고 내세우면서 다른 후보를 향해 ‘배신의 정치’, ‘거짓말 하는 후보’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것은 19대 공천에 문제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과 같이 후보자간 비방이 이어지고 중구·남구 발전을 위한 정책대결이 실종된다면 대구는 미래가 없는 도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자신의 일을 묵묵히 실천하고 유권자를 속이지 않고 주민들과 함께하는 것이 국회의원의 기본 자질”이라며 “저 이상직은 중앙정부에서 주요 직무를 수행하면서 마음의 고향인 중구·남구 발전을 위한 정책을 생각해왔다. 그래서 이번 선거에 임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중구와 남구의 발전방안으로 ‘도심지 문화의 도입’과 ‘창업 활성화’를 제시하고 있다. 이 후보는 “중구와 남구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도심 공동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창조 및 지식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청년 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재 중구와 남구는 고령화 현상으로 활기가 떨어지고 있다. 초등학교는 폐교 또는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 유아·초등·노인이 함께 하는 시범융합학교설립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기존 초등학교를 이용한 시범사업인 유아·초등·노인이 함께하는 시범융합학교설립(교육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예산출현 : 3대가 함께하는 도시) 추진을 모색해 봐야한다”고 제안했다.이 후보는 대구 중구․남구에 경북대병원을 비롯해 영남대병원,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등 다수의 대학병원이 위치하고 있는 만큼 의료관광 활성화로 지역경제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상직 예비후보는 지난 2007년 이명박 대통령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전문위원으로 활동했고 대통령직속 헌법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의 사무처장(차관급)을 역임했다. 2012년에는 당시 김무성 선대위 총괄본부장의 요청에 따라 박근혜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국민화합본부 총괄본부 부본부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