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호기자] 구미시는 정부 제3차 저 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 ‘브릿지플랜2020’ 수립에 따른 본격적인 ‘2016저출산극복정책’을 추진한다.  시는 지난해 경북도 저 출산 극복 정책평가에서 우수기관으로 선정됐으며, 정부의 핵심정책에 부합하는 구미시만의 독특한 출산 지원책 ‘임신·출산·육아 패키지’ 개발로 구미시 합계출산율 1천438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늦어진 결혼, 비혼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인 청년일자리와 일·가정 양립, 취업 모성의 낮은 출산율 해결을 위해 고용노동지청·유관기관·기업을 연계한 고용관계 개선 협조 체계를 유지하고 일·가정 양립 실천 분위기, 생명존중 등 사회의 인식 문화 행태 개선을 위한 사회 전체 분위기 개선에 노력하고자 한다. 포기되는 임신·출산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해 출산의사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난임 가정에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6회/900만 원), 한의학 난임 시술 병행 지원, 임신촉진 보충영양제와 임신 전 건강검사(빈혈 등 9항목, 3만 원)와 풍진검사(2만 원, 하반기 시행)를 지원하고 임신유지에 필요한 12주~16주 임신부에 엽산제·철분제 지원(5개월분), 기형아 검사(4만 원), 임신성 당뇨환자 조기발견 사례관리(순천향병원 연계), 고 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3백만 원 한도)등을 추진한다. 또한, 첫째아 출산가정에 출산축하용품(2만 원 상당), 둘째아 이상 출산장려금(연/60만 원), 셋째아 이상 출산 축하금(연/셋째 100만 원, 넷째 200만 원 다섯째 이상 300만 원) 및 신생아 건강보험(월1만8천원, 3년간), 세자녀 이상 가족진료비(연/5만 원), 저소득층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도우미 파견(2주/66만 원), 임산부 및 영유아 영양플러스 보충식품 지원(월/6만 원), 모유수유 클리닉 운영(연/4회) 등의 지원책을 추진하고 구미시 아이맘 앱과 지역 대중매체를 통해 앞으로 시행될 난임시술비 건강보험 적용, 난임 휴가제 활용법 등도 적극 홍보한다.  특히, 만족스럽지 못한 돌봄 교육을 맞춤형 돌봄 교육으로 재구성 하고자 아빠와 엄마가 육아 부담을 분담 할 수 있도록 ‘아빠 육아체험 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남성의 가사분담 확대를 위한 사회운동 확산을 추진하고 영유아 건강검진(7회/17만5천 원), 저소득층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기저귀 월6만4천 원, 조제분유 월8만6천 원) 어린이 안전용품 꾸러미 지원(6종), 육아용품 무료대여(10종/180점), 국가예방접종 동네의원 무료 접종으로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