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 ‘연미사 제비원 미륵불’은 불교인들의 성스러운 문화재일 뿐만 아니라 성주의 본향으로 인식돼 온 안동의 자랑이다. 그러나 최근 ‘제비원 미륵불’이 위치해 있는 곳으로부터 약 3백여 미터 근처에 5필지 규모의 샌드밀(재생골재)공장이 들어설 수도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했다. 지난 12월 16일 안동시청에 제조시설 설치 및 운영을 위한 허가신청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안동지역 범 불교인과 안동시불교사암연합회(회장 등운, 연미사 주지)는 어떠한 경우에라도 샌드밀(재생골재)공장의 입주를 불허해야 한다는 입장을 지난 12월31일 안동시에 전달, 접수시켰다. 연미사 제비원 미륵불은 고려시대인 11세기 경에 조성된 마애불(磨崖佛)로서 안동시 이천동 오도산(五圖山른) 기슭에서 1000년이 넘도록 인고의 세월을 우리 민족의 명운과 함께 동고동락해 온 소중한 민족의 유산이다. 공식 명칭은 안동 이천동 석불상(보물 제115호)으로 전체 높이 12.38m, 너비 7.2m의 암벽 위에 2.43m 높이의 머리 부분을 조각하여 얹어 놓은 입상이다. 전통문화 학자들 사이에서는 제비원 미륵불이 우리의 불교적 세계관을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유구한 전통 민속신앙인 ‘성주풀이의 본산이자 시원지’로 연구·규명되어져 왔다. 성주민요와 지신밟기의 성주풀이에서 “성주는 곧 솔씨이자 소나무이고, 성주의 본향은 경상도 안동 제비원이다”고 일컬어져 오면서 성주신앙의 성지로 주목받았다. 이뿐 아니라 제비원 미륵불은 한국정신문화의 수도를 자부하는 안동지역의 대표적인 민족 문화재이자 청정불교의 상징성을 담고 있는 성스러운 공간이다. 그러나 제비원 미륵불이 위치한 공간 옆에 소음과 분진, 진동을 필연적으로 수반할 샌드밀(재생골재)공장이 들어서게 된다면 문화재의 파괴와 함께 청정자연 속의 기도공간은 크게 훼손될 것이 분명해 질 것이라며, 안동시를 비롯한 관계당국의 즉각적인 반려 및 취소를 요청하고 아울러 관련 부서의 합당한 대처를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