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후기노인 빈곤실태 후기노인이란 75세 이상의 노인을 뜻한다. 65세 이상을 모두 노인으로 묶어 계산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선진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는 노인 빈곤율 등 통계를 전, 후기로 구분해 산출한다.평균 수명의 증가로 과거보다 노인계층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밀도 있는 분석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전기노인(65~74세)은 그런대로 건강을 바탕으로 직접 돈을 버는 경우가 비교적 많지만 후기노인은 건강악화 등으로 연금에만 의존하는 비율이 높다. 후기노인 인구는 2014년 기준 286만1천673명으로 통계상 나타나 있다.정부가 지난 2014년 노인복지에 투입한 예산은 약9조원에 달했다. 전체 국가예산 375조원의 2.4%에 이르는 큰 금액이지만 노인 취약계층에 온기가 미치지 않는다는 원성이 높다.정부지원은 해마다 늘어나는데 빈곤의 골은 더 깊어 만가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후기노인으로 분류되는 75세 이상 인구의 경우 2006년 10명중 5명이던 빈곤율이 2014년에는 10명중 6명꼴로 증가했다.이렇듯 빈곤율의 악화는 유독 75세 이상 인구에서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노인과 실질적 근로연령층(25~65세 미만)의 빈곤율은 같은 기간 모두 하락했다.사정이 이렇다보니 노인들 가운데 서로 전, 후기 연령별 빈곤율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노인의 빈곤율은 40.2%이나 후기노인 빈곤율은 59.8%로 19.6% 포인트 높았다.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취업이 어렵고 소득금액 자체가 적은데다 국민연금 등의 수급율도 떨어지는 탓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은 전, 후기노인 구분 없이 이뤄지고 있다.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노인복지정책은 65세 이상에 대해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경희 보건사회연구원 고령사회연구 센터장은 재원이 제한된 상황이어서 노인복지정책을 세울 때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면서 인구의 30% 수준인 절대 빈곤층과 복지사각지대 노인에 대해 우선적으로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후기노인 10명중 6명이 빈곤한 상태에 놓여있다는 통계는 우리나라 노인복지의 현주소를 잘 보여주고 있는 현실이다.소득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데도 기초생활수급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이나 인생 황혼기에 노구를 이끌고 생활전선에 뛰어드는 여성들, 다가오는 죽음을 혼자서 기다리는 독거노인들의 현실이 그 속에 반영돼 있다.그러나 정부는 불편한 진실을 애써 외면하려는 듯 이에 대한 공식통계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몸이 쇠약한 후기노인이 더 쉽게 빈곤의 늪에 빠지는 현실은 국내 노인들의 소득체계와 관련이 깊다.나이가 들수록 노동의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자리와 근로소득의 감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빈곤노인에게 마지막으로 기댈 공적연금 수급율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떨어진다.이렇게 후기노인은 다른 연령대와 달리 갈수록 빈곤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대책은커녕 빈곤실태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다.정부의 무관심 속에 벼랑 끝에 내몰리다보니 막다른 선택을 하는 비율도 높았다. 우리나라 노인 65세 이상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55.5명 수준이지만 75~79세는 66.5명, 80세 이상은 78.6명이었다.또한 비수급 노인빈곤층의 사정도 위태롭다. 돈을 버는 자녀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기초생활수급자에서 제외된 사람들이다.문제는 비수급 빈곤층 자녀중에 부모를 전혀 돌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데 있다. 정부가 시급히 다루어야 할 과제다.좋은 文學 경북지회장 박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