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홈페이지에는 ‘부산 영도구’의 국회의원으로 나와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의 블로그는 ‘부산 사상구’국회의원으로 소개했다. 엄밀히 따지면 잘못된 표기다. 지난 연말까지 여야가 선거구 재획정을 합의하지 못해 새해 1일 0시를 기준으로 현행 246개 국회의원 선거구가 모두 무효가 됐기 때문이다.4ㆍ13 총선이 불과 100일도 남지않았지만 ‘선거구 실종’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혼란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심각성을 강조하며 여야 합의를 독려하고 있으나, 감정의 골이 깊어진 여야는 책임을 서로에게 돌리며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다. 역대 최대 ‘안개속’선거에 직면한 정치 신인들은 울분을 터트리며 줄소송을 예고했지만 ‘현역 프리미엄’을 앞세운 의원들의 움직임은 더디기만 하다. 1월 임시국회가 11일부터 열린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이날 3+3 회동을 갖고 20대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 처리를 협의한다. 지난해 정기국회 이후 12월 임시국회까지 소집했지만, 풀지 못한 숙제다. 하지만 지난 수 차례의 담판에도 불구 합의를 이뤄내지 못한 여야가 이날 회동에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해낼 가능성은 많지 않아 보인다. 북한의 제4차 핵실험은 여야의 협상을 더욱 어렵게 할 전망이다. 안보는 물론 경제 분야까지도 여야 모두 보수ㆍ진보의 지지층을 의식하면서 뚜렷한 노선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선거구 획정은 4ㆍ13 총선 전까지 해결하지 못할 경우 선거 무효 사태까지 벌어질 수 있어 어떤 형태로든 결론이 나겠지만, 쟁점 법안은 결국 총선 공약과 연계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온다. 혹여 1월 임시국회가 빈손으로 끝나 2월 임시국회가 다시 소집된다 해도 총선을 두 달 앞둔 상황에서 실효성이 떨어질 게 불을 보듯 뻔하다.이러다 보니 국회 주변에선 19대 총선의 구태를 또 답습하지 않겠냐는 핀잔들이 나오고 있다. 이는 국회가 지난 19대 총선 때도 선거구 획정은 2월 말께 이뤄진 실패작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유권자들을 짜증나게 하는 것은 내부 공천룰 힘겨루기에 정신을 모두 빼앗긴 여야 정당들도 마찬가지다. 새누리당은 공천룰 협상 과정에서 계파간 갈등이 임계치에 근접했고, 안철수 의원 탈당 이후 야권은 주도권 경쟁을 벌이면서 인재영입 경쟁에 여념이 없는 상태다.유권자들은 국회와 여야 당 내부의 혼란과 주도권싸움으로 인해 20대 총선은 일단 ‘정보부재 선거’ ‘안개속 선거’ 선거를 치르게 됐다. 무용지물 안개속 국회가 도대체 언제까지 갈것인지 우리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