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5일 올해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15분 동안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남은 임기 동안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낼 것” “적폐나 부패를 척결해야 한다”는 등의 강성 발언들이 이어졌다. 그러면서 고강도 사정을 예고했다. 박 대통령은 “과거의 적폐가 경제 활력의 걸림돌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며 “각 부처는 부정부패 척결에 더욱 매진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적폐가 잔뜩 쌓여 있는데 돈을 쏟아붓는다고 피와 살로 가겠는가”라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정책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계속 갉아먹는 적폐나 부패를 척결해야 한다”고 말했다.지난해말 줄기차게 쟁점 민생법안의 국회 처리를 호소해 왔던 박 대통령이 이날 ‘부패 엄단’을 유독 강조한 발언을 계기로 이번주 출범하는 검찰 ‘반부패TF팀’과 다음주 초 정부에서 발표될 ‘사전부패예방제도’를 통해 범정부차원의 고강도 사정이 투트랙으로 진행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박 대통령의 부정부패척결 발언은 우선 집권 4년차를 맞아 총선 등 유동적인 정치 상황에서 공직 기강의 해이를 막고 국정 누수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아직 성과가 미비한 4대 개혁의 성과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전 조치의 의미로도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청와대는 “사정과는 별개”라며 선을 그었다.정연국 대변인은 6일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국민 세금이 잘못 쓰여지는 분야 중심으로, 부패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스템을 갖춰 예산 낭비를 줄이고 비리 소지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하지만 전국 단위의 대형 부정부패 수사를 맡게 될 반부패TF팀이 사실상 과거 중수부의 기능을 갖는 막강한 조직이어서 박 대통령의 의중이 상당 부분 업무에 반영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앞서 김수남 검찰총장도 신년사에서 “사회 지도층 비리와 국가 재정 부실을 초래하는 기업, 금융 비리 등을 대표적인 부패 대상으로 규정한 바 있다.새해가 시작되고 6일이 지나도록 민생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는 ‘식물국회’가 지속되고 있다. 박 대통령이 부패척결을 강조한 직후 곧바로 국회 각성을 촉구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총선이 다가오면서 정치인ㆍ기업ㆍ공직자들의 비리가 불거질 가능성도 높다. 신설될 검찰의 ‘반부패수사TF’와 정부의 ‘사전부패예방제도’의 역활이 주목된다.